북한 당 7차 대회에서 김정은 제1비서가 남북군사회담 필요성을 제기한 데 대해 국방부는 "비핵화의 진정성있는 태도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태도변화없이 현 시점에서 대화는 무의미하다고 못박았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9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스스로를 책임 있는 핵보유국으로서 세계의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하는 주장은 핵보유국 지위를 기정사실화하여 결국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북한은 결코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와 국제사회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정부는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통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북군사회담 필요성에 대해서는 "북한이 스스로 핵보유를 자처하면서 핵미사일 도발 등을 자행하는 상황에서 긴장완화 등을 위한 군사회담이 필요하다고 한 것은 전혀 진정성이 없다"며 "대화의 문은 열어놓고 있으나, 대화가 이루어지려면 북한이 도발을 중단함은 물론, 진정성 있는 비핵화 의지를 행동으로 먼저 보여야 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어떤 진정성 있는 태도 변화가 없는 현 시점에서는 대화가 무의미하다"며 "도발을 중단하고 또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 있는 태도 변화가 있어야 된다"면서 대화의 전제조건을 밝혔다.
이 밖에도 북한이 주한미군철수 한.미군사연습 중단, 대북 확성기방성 및 대북전단 살포 중단 등을 요구한 데 대해 "수없이 반복되어 온 주장으로 논평을 할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문 대변인은 "향후 북한의 도발 가능성과 관련해서 핵경제병진노선을 항구적 전략노선으로 천명한 이상, 핵미사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북한의 추가 핵실험, 그리고 미사일 시험발사 등은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예상했다.
현재 "전략적 도발과 함께 기습적인 전술적 도발 가능성도 배제할 수가 없다"면서 "군은 북한의 다양한 전략적.전술적 도발에 대해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