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도입 추진을 공식화한 이후, 한.미 국방부가 공식 협의를 위한 실무단 구성 협의를 진행 중이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18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사드 배치) 한.미 공동실무단 구성과 운영에 관해서는 협의가 진행이 되고 있다"며 "(이를 위한) 공식협의가 2월 7일 시작됐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국회 연설에서 "지난 2월 10일 발표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협의 개시"라고 날짜를 틀리게 말했던 박근혜 대통령의 실수를 바로잡은 셈이다.
문 대변인은 "지금 당국자 간에 공동실무단을 개최하기 위한 운영에 관한 약정을 체결하기 위해 지금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약정이 체결이 되면 공동실무단이 공식적으로 개최돼서 협의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미국 빌 어번 국방부 대변인은 한.미 국방부가 사드 한반도 배치를 위한 협의를 공식 시작했다고 밝혔으나, "주한미군과의 의사소통에서 일부 착오가 있었다"며 "공동실무단을 아직 만나지 않았으며, 협의에 앞서 세부사항을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한.미 동맹은 이런 세부사항들을 통해 신속하게 그러나 면밀하게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일정표는 정해지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한민구 국방장관도 이날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과의 안보상황 점검 긴급 당정협의회에 참석해 "주한미군사령부와 한국 국방부 간 공동 실무단을 운영하도록 되어 있고, 그런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사드 배치 시기 등은) 공동실무단 협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돼야 언급할 수 있다"며 "북한의 핵 위협으로부터 우리나라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고 국민의 안전과 환경에 영향이 없도록 부지를 선정해 배치할 것이며, 한.미간 협의를 거쳐 적절한 시점에 부지 관련 사항을 충분히 설명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 정부의 사드 배치 계획 철회 요구에 문상균 대변인은 "우리는 자주권적 차원에서 이 문제를 다 바라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문 대변인은 "북한에 증대하는 핵,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조치는 그 어느 것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을 하고 있다"며 "그래서 우리 정부와 군은 이러한 입장에 기초해서 모든 것을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