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수소탄 실험 이후 열린 첫 한국과 중국 국방부 당국자 회의에서 중국 측은 안보리 제재 참여 의사를 밝히면서도 관련국의 대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중은 15일 서울 국방부 청사에서 제15차 한중 국방정책실무회의를 가졌으며, 한국 측에서는 윤순구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중국 측에서는 관요페이(關友飛) 국방부 외사판공실 주임이 참석했다.
회의 직후, 윤순구 정책관은 "북한의 4차 핵실험은 안보리 결의와 9.19공동성명을 위반한 것이기 때문에 중국도 안보리 제재 결의에 참여하겠다"며 관요페이 주임의 발언을 전했다.
그에 따르면, 관 주임은 "중국은 북한의 핵개발과 핵실험에 절대 반대한다. 이같은 중국의 입장은 대외적으로 공표했고 왕이 외교부장이 지재로 주중 북한 대사를 불러 전파했다"며 북핵 실험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북한 핵 실험과 관련해, 관 주임은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 평화.안정', '대화.협상' 원칙을 강조하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관련 국가의 대화 노력이 중요하다. 중국은 한국과 다방면의 긴밀한 협의로 이 문제를 처리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즉, 북한의 핵실험에는 반대하고 이를 다루는 유엔 안보리 제재에 동참할 뜻은 있으나, 대화와 협상으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이번 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 배치 발언이 나온 데 대해 관 주임은 부정적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중 국방장관 핫라인 불통문제에 대해 관 주임은 "북한 핵문제의 주무부처는 외교부"라며 "(과거에도) 관련국의 (핫라인 통화) 요청이 있었지만 중국 국방부장은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통화를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