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포사격 교전 이후 극적으로 진행된 남북 고위급 접촉 합의내용을 담은 공동보도문을 북한이 25일 새벽 2시경 긴급 보도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5일 판문점발로 "내외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22일 판문점에서 열린 북남고위급긴급접촉이 24일에 끝났다"며 결과를 보도했다.

통신은 북측의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당비서, 남측의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마주했다고 밝히며, "북과 남은 접촉에서 군사적 대결과 충돌을 막고 관계발전을 도모하는데서 나서는 원칙적 문제들을 진지하게 협의하고 공동보도문을 발표하였다"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남북은 공동보도문에서 "최근 북남사이에 고조된 첨예한 군사적 긴장상태를 해소하고 북남관계를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문제들을 협의하였다"고 밝혔다.

북측이 공개한 합의문에 따르면, 북과 남은 북남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당국회담을 평양 또는 서울에서 빠른 시일안에 개최하며 앞으로 여러 분야의 대화와 협상을 진행해나가기로 하였다.

그리고 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지역에서 발생한 지뢰폭발로 남측군인들이 부상을 당한데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였다.

이어 남측은 비정상적인 사태가 산생되지 않는 한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모든 확성기방송을 8월 25일 12시부터 중단하며, 북측은 동시에 준전시상태를 해제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그리고 "북과 남은 올해 추석을 계기로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을 진행하고 앞으로 계속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적십자실무접촉을 9월초에 가지기로 하였다"고 명시하고 "북과 남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민간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하였다"고 합의문을 공개했다.

북측이 보도한 공동보도문은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오전 2시경 청와대에서 발표한 내용과 같고, 다만 남측의 '이산가족 상봉'을 북측은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으로 표현하는 등 약간의 차이는 있다.

[전문]

북남고위급긴급접촉 공동보도문

북남고위급긴급접촉이 2015년 8월 22일부터 24일까지 판문점에서 진행되였다.

접촉에는 북측에서 황병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당중앙위원회 비서,남측에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 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참가하였다.

쌍방은 접촉에서 최근 북남사이에 고조된 첨예한 군사적긴장상태를 해소하고 북남관계를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문제들을 협의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1. 북과 남은 북남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당국회담을 평양 또는 서울에서 빠른 시일안에 개최하며 앞으로 여러 분야의 대화와 협상을 진행해나가기로 하였다.

2. 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지역에서 발생한 지뢰폭발로 남측군인들이 부상을 당한데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였다.

3. 남측은 비정상적인 사태가 산생되지 않는 한 군사분계선일대에서 모든 확성기방송을 8월 25일 12시부터 중단한다.

4. 북측은 동시에 준전시상태를 해제하기로 하였다.

5. 북과 남은 올해 추석을 계기로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을 진행하고 앞으로 계속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적십자실무접촉을 9월초에 가지기로 하였다.

6. 북과 남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민간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하였다.

2015년 8월 24일
판문점

[출처-조선중앙통신]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