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북한인권서울사무소'가 23일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글로벌센터에서 개소식을 갖고 공식적으로 업무를 시작한다.
정부는 북측이 사무소 개소를 두고 ‘내정간섭’, ‘체제전복’음모라며 강하게 반발하는데 대해 22일 이에 대한 비난을 중지하고 북한 주민의 인권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인권이 인류보편적 가치 차원의 문제로 이번 유엔인권사무소와 같은 유엔국제기구를 우리나라에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며, “북한당국은 이 같은 유엔의 북한인권 사무소 설치에 대해서 비난할 것이 아니라 북한주민의 인권상황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 유엔 및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측은 지난달 29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 보도 이후 여러 매체를 통해 ‘북인권사무소’는 ‘유엔의 이름을 도용’한 것이며, “철두철미 미국의 각본에 따라 남측 당국과 추종세력이 ‘탈북자’들을 끼고 조작해 낸 반공화국 대결모략기구”라고 폄훼했다.
또 “서울에 ‘북인권사무소’라는 문패가 달리는 순간부터 박근혜 일당은 용서를 모르는 우리(북)의 백두산 총대의 첫 번째 타격대상”이 될 것라이면서, “서울에 끝끝내 설치된다면 그것을 우리에 대한 공공연한 대결선포로 간주하고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하여 가차 없이 무자비하게 징벌할 것”이라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번에 설치되는 ‘유엔북한인권서울사무소’는 지난해 2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북한의 인권침해에 대한 유엔차원의 대응을 위한 조직 설치를 제안한 것을 유엔인권이사회가 대북인권결의안으로 채택하면서 법적 의무가 된 것.
정부는 사무소의 서울 설치를 위해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등과 협의를 진행, 지난 5월 법적 준비를 마무리하고 사무소의 역할을 북한 인권상황 관찰 및 기록 강화, 책임규명 보장, 유관국 정부·시민사회의 역량 강화, 지속적인 홍보 등으로 규정하고 이번에 사무소를 설치하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