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북한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처형을 공개한 데 대해 국방부는 신중론을 펼쳤다. 대북정보를 수집, 평가하는 정부기관들이 엇박자를 내는 형국이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14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국정원발 '현영철 처형'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현영철 처형에 관련한 것은 일반적으로 우리 군은 북한의 군사정보와 관련해서 주로 정보를 수집한다"고 운을 땠다.

그는 "우리의 정보수집 능력에다가 또 한.미, 미국이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정보수집 능력, 수집한 것이 이런 것을 포함해서 서로 한.미가 종합적으로 북한군의 동향을 주로 보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 정부 내의 다른 기관 간의 정보수집 능력 차이라든지 그런 분석에 대한 것은 말씀드리기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14일자에 따르면, 군 관계자는 "(현영철 숙청)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 국정원이 단독으로 갖고 있는 정보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리고 "군 차원에서 현영철 숙청과 관련해 특별한 것이 없다. 북한군 동향 역시 조용하다"면서 국방부 차원에서는 관련 보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반응을 내놨다.

즉, 국방부는 대북정보 수집과 평가를 한.미가 함께 공유한다는 점에서 국정원의 '현영철 처형' 첩보를 신뢰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대북정보를 수집하는 다른 축인 통일부도 국정원발 '현영철 처형'에 신중한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지난 5일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현지지도 기록영화에 현영철이 등장했다는 점에 주목, "과거에도 숙청이후에도 일부 기록물에 나온 경우가 있다. 이번에 왜 삭제안하고 보냈는지는 분석이 필요하다"며 "(첩보 신빙성은) 국정원에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지금 문제가 되는 것은 현영철이 처형 또는 숙청당했다는 정부 발표가 과연 얼마나 신뢰할만한 것인가"라며 "왜 정부가 아직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이 시점에 성급하게 내놓았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