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쟁기 대전 산내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대책위원회’ 김용우 상임대표가 공동대책위 결성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통신원]

한국전쟁 기 대규모 민간인 학살이 진행되었던 대전 산내 학살지에 대한 유해발굴사업이 이번 달 23일부터 일주일간 진행된다.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 등 19개 단체는 4일 대전시의회 3층 소회의실에서 회의를 열고 ‘한국전쟁기 대전 산내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대책위원회(상임대표 김용우, 이하 공동대책위)를 결성하고, 결성회의 직후 대전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공동대책위 상임대표인 김용우 목사는 “이 사건(산내 민간인학살사건)은 한국현대사에서 가장 큰 아픔이었고, 민족분단을 낳았던 한국 전쟁을 통해서 일어난 사건”이라며, “지난 65년 동안 국가공권력의 직무유기와 후손들의 무관심에 대해 반성하고, 유해발굴을 통해 역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사회단체와 유족들이 함께 공동대책위를 구성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김용우 목사는 “국가공권력에 의해 학살된 만큼 국회에 계류된 관련 법안이 조속히 통과되어야 하고, 대전광역시도 특별조례를 마련해서 문제해결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학살지를 성역화하여, 고인들에 대한 애도뿐 아니라 다시는 전쟁이 없는 평화를 염원하고, 민족분단을 극복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유해발굴은 민간차원으로 구성된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하 공동조사단)’이 맡게 되는 데, 공동조사단의 발굴조사 총괄기획을 맡은 김민철 박사(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아픈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희생자들의 유해라도 발굴하는 것이 최소한의 도의적 책임인데, 국가가 저지른 범죄에 대해 반성조차 하지 않고 있다”면서 “국가의 책임을 묻는 것과는 별개로 민간조사단을 결성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공동조사단은 지난 2014년 1월 결성하였고, 1차 유해발굴을 경남 진주시 명석면 용산리 일대에서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4일까지 12일간 진행하여 최소 39명에 해당하는 유해를 발굴한 바 있다.

▲ 민족문제연구소 김민철 책임연구원이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결성배경과 활동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통신원]

김민철 박사는 “2차 유해발굴지로 몇 개 지역을 검토해본 결과 대전 산내학살지를 선정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산내 학살지에 대한 유해발굴은 2007년 한 차례 시도된 바 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2007년 6월 25일부터 9월 22일까지 약 70여 일에 걸쳐 대전 산내학살지(동구 낭월동 산13번지)에서 유해발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극히 일부 유해매장 추정장소를 발굴하여 34구의 유해만을 발굴하였다.

토지소유주와의 갈등, 영농행위와 건축행위로 인한 매장지 훼손 등의 이유로 대규모 희생자 매장지는 손도 대지 못했다. 2010년 12월 진실화해위원회가 해산되어 추가 발굴은 중단된 상태였다.

공동대책위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무성의로 현장에는 학살지를 알리는 안내판조차 제대로 서 있지 않다”며, “민간차원에서라도 먼저 힘을 모아 아픈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나서자고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장지가 심하게 훼손돼 유해가 발굴될지 여부도 불확실하지만, 유해발굴 작업은 진실규명을 위한 소중한 시도”라고 밝혔다.

또한 공동대책위는 △과학적 유해발굴 작업을 위한 기구 마련 △위령제 지원을 위한 조례제정 △유해 매장지 훼손 방지마련 대책을 정부와 대전시, 동구청에 각각 촉구했다.

유해발굴은 2월 23일 오전 10시 개토제를 시작으로 일주일간 진행되고, 발굴될 유해는 충북대 민간인 희생자 임시 안치소에 보관하거나, 발굴지 인근 별도의 컨테이너 박스에 안치해 역사적 진실을 알리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