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쟁유족회 창립 54주년 기념식이 지난 20일 저녁 신촌 다래헌에서 50여 명의 유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한국전쟁전후민간인희생자전국유족회(이하 ‘한국전쟁유족회’) 창립 54주년 기념식이 지난 20일 저녁 신촌 다래헌에서 50여 명의 전국 유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1960년 10월 20일 유족회를 결성한 이래 54년 만에 처음으로 열린 이날 기념행사에는 이이화 금정굴재단 이사장과 안병욱 전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 최사묵 평화재향군인회 상임대표,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김영승 통일광장 이사 등이 내빈으로 참석했다.

특히 세월호 참사로 자식을 잃은 유가족인 김성실 어머니(세월호가족대책위 대외협력위원장)와 이우근 아버지가 참석하여 동변상련의 심정으로 행사를 함께했다.

그리고 1960년 전국유족회 결성에 앞장섰던 김하종 현 경주유족회 상임고문, 당시 사정위 국장이었던 고 이원식 선생의 아들 이광달 고문, 당시 회장이었던 고 노현섭 선생의 아들 노치웅 님, 당시 사정위원이었던 고 이삼근 선생의 아들 이용욱 님이 참석하여 54년 간의 숨죽인 역사를 증언했다.

행사는 억울하게 학살당한 영령들에 대한 묵념으로 시작되어 추모 노래, 유족회의 역사를 담은 영상물 상영과 활동 경과보고 등으로 이어졌다. 또한 내빈에 대한 감사패 전달과 축사, 전국에서 온 유족들의 인사,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다짐하는 결의사항 낭독 등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한국전쟁 전후 이승만 정권과 미군 등에 의한 민간인 피학살자는 1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지만, 1960년 결성된 전국유족회가 이듬해 5.16쿠데타정권의 혹독한 탄압으로 와해되면서 진실규명 활동 역시 중단되었다.

이후 세기가 바뀌어 진실화해위원회에서 4년 간의 조사를 통해 겨우 1만여 명이 진실규명을 받았고, 그 중의 또 일부만이 국가소송에서 승소하여 소액의 배상금을 받거나 소송이 진행 중에 있다.

당시 집단 학살된 매장지가 전국에 널려 있지만 제대로 발굴을 못하고 있고, 발굴된 유해조차 안식처를 찾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추가 진실규명을 위해 여야가 발의한 과거사법 개정안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 1960년 10월 20일 4.19혁명으로 열린 공간에서 창립된 전국유족회의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는 영상.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창립 기념 축가를 부르는 윤영전 고문(광주 유족).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박용현 유족회 운영위원장.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민간인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묵념.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1960년 전국유족회 창립 초기의 의욕적인 활동과 이듬해 5.16쿠데타정권에 의한 혹독한 탄압 등을 설명하는 정석희 공동대표의 경과보고.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기념식에 참석한 유족과 내빈들.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1960년 전국유족회 결성에 앞장섰던 김하종 현 경주유족회 상임고문, 당시 회장이었던 고 노현섭 선생의 아들 노치웅 님, 당시 사정위국장이었던 고 이원식 선생의 아들 이광달 고문, 당시 사정위원이었던 고 이삼근 선생의 아들 이용욱 님(오른쪽부터). 이날 유족회원들의 정성을 담은 기림패를 받았다.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우리의 굴곡진 역사는 그 자체로 대하소설입니다. 잊지 않기 위해 우리 모두가 자세히 기록으로 남겨야 합니다.” 감사패를 받고 축사를 하는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왼쪽)과 이이화 금정굴재단 이사장.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세월호 참사로 자식을 잃은 김성실 어머니(세월호가족대책위 대외협력위원장)가 “세월호 사건이 나기 전까지 60여 년을 이어 온 이런 유족들의 싸움을 몰랐습니다. 옛날 제 모친께서도 외삼촌이 학살되는 것을 직접 목격했지만 아무에게도 얘기하지 못했습니다. 그 오랜 침묵에 대한 벌을 이제 와서 받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라며 숨겨진 가족사를 밝히고, “다시 64년이 지나서도 아이 죽음의 진실을 찾아 헤매는 일이 없도록 함께 하겠습니다.”고 연대의 뜻을 표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유족회 김광년 공동대표의장으로부터 감사패를 받는 안병욱 전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5.16쿠데타 후 무덤과 위령비는 다시 파헤쳐지고 아버지는 1심에서 사형선고를 받았습니다. 어머니는 수의를 준비해서 면회를 가야 했습니다. 면회시간은 3분이었습니다. 저 역시 27차례나 끌려가 고초를 겪어야 했습니다.” 야만적인 학살에 대한 분노, 박정희 쿠데타정권에 의한 혹독한 유족회 탄압과 연좌제의 고통을 눈물로 증언하는 김하종 현 경주유족회 상임고문, 이광달 고문, 노치웅 님과 이용욱 님(왼쪽부터).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형님을 잃은 심정을 직접 편지글로 낭독하는 의성 유족 강신도 님. 올해 국가배상소송에서 승소, 배상금 5백만 원 전액을 유족회에 기부했다.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1960년 당시 유족회의 6개 결의사항을 다시 다짐하는 김복영, 이정수 유족. 54년이 흘렀지만 결의 내용은 변한 것이 없다.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기념식 후 떡을 자르는 고문진과 내빈들.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 4.19혁명 직후 제4대 국회는 전쟁기 양민학살 희생자를 114만 명으로 발표했다. 학살로부터 10년, 유족들도 젊을 때였다. 사진은 1960년 전국유족회의 모토. [사진-통일뉴스 류경완 통신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