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현재로서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조짐이나 4차 핵실험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1일 확인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국방부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서해안에서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은 현재는 조금 줄어든 것 같다”며 “유엔사에서 북한군과 장성급 회담을 제의했는데 북측으로부터 아직은 반응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또한 “북한이 항행금지구역 설정을 했다고 보도가 나오는데, 국제해사기구에 공식적으로 설정한 바는 없는 것 같다”며 “현재로서는 미사일 발사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한행금지구역 설정은 아니더라도 조업통제를 한다든가 이런 것은 맞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것은 여러 가지 정보 수집 수단으로 듣는 것이어서, 확인 줄 수는 없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등은 정부 고위 소식통을 인용 “북한이 어제부터 4일까지 동해 원산 앞바다 일대에 내부적으로 선박 항행금지구역을 설정한 것으로 안다”며 “스커드 또는 노동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1일 보도했다.

김 대변인은 “지금 핵실험을 즉각 하기 위한 그런 징후는 보이지 않고 있다”며 “북한은 산속에 수평갱도를 뚫어서 거기에서 핵실험을 할 수 있도록 현재 준비를 다 구축해 놓은 상태이고, 현재로서 진짜 핵실험을 하려면 추가로 여러 가지 계기나 폭발장치 등을 갖다놔야 하는데, 그러한 징후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경고한 ‘새로운 형태의 핵시험’과 관련 ‘대기권이나 수직갱도 실험 형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수직갱도나 또는 대기권에 한다는 것은 사실은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답했다.

“수직갱도에서 하는 것이나 산속 수평갱도를 뚫어서 하는 것은 효과가 같다”는 것이며, “대기권에서 하는 것은 주변국에 대해서 충분히 핵실험을 했다고 하는 효과를 보일 수는 있겠지만, 그 핵실험으로 인한 방사능 낙진 등으로 인해서 국제적으로 엄청난 비난을 받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그렇게 감행하는 것은 어렵지 않겠나”라는 것이다.

전날 서해상에서 북측 포탄이 100발이 넘어오자 300발 대응사격을 가한데 대해서는 “그것은 현장 지휘관이 판단할 일”이라며 “그 상황에서는 우리들로서는 충분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북한이 해상으로만 쐈기 때문에, 또 인명피해가 난 것도 아니고 우리 육지에 떨어진 것도 아니고, ‘그 수준에 하자’, 그래서 해상에 쐈다”는 것.

북측이 포탄을 발사한 지점을 ‘원점타격’하지 않았다는 일부 비판에 대해서는 “북한이 우리 인명피해를 나게 했거나 또는 우리의 시설, 민간인 재산 이런 것을 파괴했을 때는 당연히 원점타격을 한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이 어제 방사포를 많이 써왔는데, 방사포의 정확도는 상당히 낮다”며 “우리 K-9 자주포는 훨씬 정밀도가 높다”고 말했다.

또한 “어제 우리 군이 서북5도 주민을 우선적으로 안전하게 대피시켰다. 조업어선도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조치했다”며 “올 2월에 정부차원에서 백령도와 연평도에 대피소와 확성기, 민방위 정보시스템을 잘 구축했다. 그 덕분에 우리 주민들이 아주 효과적으로 빠르게 대피소로 대피했다”고 자랑했다.

백령도 지역은 기존에 98개의 대피소가 있는데 35개를 신축해서 1만 6,400여명을 수용할 수 있고, 연평도 지역은 14개 대피소가 있었는데 7개를 더 신축해서 2,100명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앞으로도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우리 정부, 군은 주민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신속하게 대피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 12:01)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