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지난 5일 제안한 데 대해, 북측은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았다.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는 남북 적십자간 협의로 해결될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6일 거부했다.
통일부는 이날 "북측은 오늘(6일) 오전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명의 통지문을 통해 우리측의 남북적십자 실무접촉 제의에 대한 입장을 밝혀왔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측은 전통문에서 "지금은 이산가족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가질 환경과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지 못하다"고 이유를 들었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논의틀을 거론, "현 남북관계로 보아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같은 중대한 인도적 문제들은 남북 적십자간 협의로 해결될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즉, 최근 열린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상호 비방중상 중지와 함께 타결됐다는 사례에 비춰,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문제도 고위급 접촉에서 다뤄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통일부는 "우리측은 북측이 남북 적십자간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등 근본적 해결방안을 협의하자는 우리측 제의에 호응하지 않은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우리측이 수 차례 밝혀왔듯이 이산가족 문제는 그 어떠한 사안과 연계됨이 없이 남북 간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며, 남북관계 발전의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측이 우리측 제의에 호응해 오기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며 "향후 대응방향은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논의 자체를 거부한 것은 아니다"라며 "남북 적십자가 아닌 다른 틀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것으로 보인다. 고위급 접촉이나 어떤 방식으로 할지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 국방위원회는 지난 5일 청와대 국가안보실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한 민간단체의 전단살포를 문제삼았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1문단 2줄, 4문단 2줄, 6문단 1줄:적십자간→적십자 간('간'은 '관계, 사이' 등을 나타낼 때는 의존 명사로 띄어 쓰고, '날짜, 시간의 경과'를 나타낼 때는 붙여 씁니다.)
6문단 2줄:않은데→않은 데('데'는 의존 명사로 띄어 써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