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정부는 이달중 생사확인을 위한 이산가족 100명의 명단 교환을 시작으로 생사확인과 서신교환이 장기적 사업이 될 것으로 보고 통일부, 정보통신부, 경찰청 등 관계기관 등으로 구성된 `이산가족 기획단`발족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2차 적십자회담에서 9월 이후 ▲10월 생사확인을 위한 2차 이산가족 100명 명단 교환 ▲2차 이산가족 방문단 100명 교환(11월 2-4일)과 이산가족 300명 시범 서신교환 ▲3차 이산가족 방문단 100명 교환(11월 5-7일)을 계기로 생사확인 결과를 지속적으로 상대측에 통보키로 합의했다.
정부 당국자는 `앞으로 이산가족 생사확인 작업은 종전대로 통일부,정보통신부, 관계기관 등이 합동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며 `그러나 생사확인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사업이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새 기구 출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산가족 신청자 9만5천명 명단의 △일괄전달 방안과 △단계별 전달 방안이 2차 적십자회담에서 관철되지 않았으나 이산가족 생사 및 주소확인이 내년 이후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하고 ` 그러나 9월 첫 시작 규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점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그는 `이달중 이산가족 생사확인 명단 교환 시기는 앞으로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남북이 협의해 구체적으로 결정될 것`이라며 `서신왕래의 경우 판문점의 연락사무소가 엽서 형태의 편지를 교환한 다음 이산가족들에게 이를 다시 우편으로 송부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적은 금주중으로 인선위원회를 열어 첫 생사확인 명단 교환 대상자 100명을 컴퓨터로 무작위 선정한다는 방침을 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2000/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