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30일 오후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진정성을 보이라는 정부입장을 발표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 북한 핵개발 프로그램 관련 보도를 이례적으로 언급했다. [사진-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대해 나흘째 답변을 주지 않은 가운데, 정부는 진정성을 보이라고 30일 거듭 촉구했다. 특히,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 관련 보도를 이례적으로 언급했다.

이날 오후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내일은 떨어져 생활하던 가족들이 모두 모이는 민족의 명절 설"이라며 "인륜과 천륜을 갈라놓고 상봉을 기다리던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또다시 못을 박는 일이 되풀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정부 입장을 밝혔다.

박수진 부대변인은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하자고 하면서도 내달 17일-22일에 상봉행사를 갖자는 우리의 제안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고, 실무접촉도 무산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진정으로 이산가족의 아픔을 생각한다면 진정성을 보여야한다"며 "책임지지 못할 제안이라면 하지 않는 것이 이산가족들의 상처를 줄이는 일이 될 것"이라고 수위를 높였다.

특히, 이날 발표에 북한 영변 핵 개발 프로그램 관련 보도를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박수진 부대변인은 "지금 북한이 영변에 있는 플루토늄 추출을 위한 원자로를 재가동하고 우라늄 농축시설의 규모도 확충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며 "북한이 이렇게 핵무기 프로그램을 계속 진전시키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하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은 당장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 및 비핵화 국제의무와 약속을 지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일부 언론은 미국 정보기관 총책임자인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의 발언을 인용, 북한이 영변 핵단지에 있는 우라늄 농축 시설의 규모를 확충하고 플루토늄 원자로도 재가동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정보당국이 정확히 확인하지 않은 북핵 개발 프로그램을 보도를 인용해 정부 입장을 낸 것은 무리가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박수진 부대변인은 "여러 가지 움직임이 있는 것에 대해서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여러 가지 움직임이 있어왔다고 보도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그런 우려에서 말씀을 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이산가족 상봉을 북핵문제와 연계시키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북핵과 이산가족 상봉) 연관성을 말씀드리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산가족 상봉에 응하라는, 실천으로 보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하면서 그것과 더불어 남북관계 진전이 있기 위해서, 또한 핵 프로그램 관련해서도 움직임이 있어야 된다는 것을 촉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핵과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북핵 프로그램 현재 상황을 확인해줄 수는 없다"면서도 "지금까지 정부가 밝혀온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북한의 움직임이 있다고 볼 수는 있으나 움직임이 핵 개발과 관련된 것인지 파악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북한 영변 핵시설 움직임이 심상치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29일 조태용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은 글린 데이비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영변 5MW(메가와트) 원자로 가동 징후를 확인, "핵문제는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것인데 영변 같은 경우는 나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 본부장은 "우리가 해결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라고 말해 조속한 6자회담 재개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데이비스 특별대표는 북한의 '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 병진노선'에 대해 "막다른 길"이라고 표현, 방향전환을 촉구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