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이 정부의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데 대해, 정부는 9일 유감을 표명했다. 그리고 이번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이유로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꼽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오후 북측은 조평통 서기국 명의로 통일부 앞으로 통지문을 보내왔다"고 확인, "북측이 연례적 군사훈련 등을 인도적 사안과 연계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북측이 제기하는 문제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측은 말로만 남북관계 개선을 얘기할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며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위한 우리 측의 제의에 성의있게 나올 것"을 촉구했다.
북측의 통지문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명의로 통일부 앞으로 온 것과 관련, 이 당국자는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로 보낸 것은 실무접촉이었다. 북한이 실무접촉 자체를 거부한 것이 아니라 다른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며 "실무접촉을 넘어 범위가 넓은 메시지"라고 분석했다.
즉,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 제의를 조평통 이름으로 입장을 통지한 것은 이산가족상봉에 국한된 메시지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북측의 이번 전통문 마지막 문장 중 "남측에서 다른 일이 벌어지는 것이 없고, 우리의 제안도 다 같이 협의할 의사"라는 부분은 금강산 관광 재개 논의인 것으로 해석했다.
이 당국자는 "북측이 제기하는 문제는 명시적으로 하지 않았지만 금강산 관광을 이야기한 것으로 이해를 한다"며 "사안 자체는 다르다. 관광 문제와 인도적 문제는 사안도 다르고 연계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가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이산가족 상봉과 연계하지 않지 않는다는 설명은 '이산가족 상봉 후 금강산 관광 재개 논의'가 아닌, 말 그대로 별개의 사안이라는 말로 풀이됐다.
이 당국자는 "이상가족 상봉과 같은 인도적 문제와 금강산 관광이라는 경제적 문제를 연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이산가족 상봉 없이 금강산 관광 재개만 먼저 (북측에서) 제의하면 어찌할 것이냐는 그때가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정부가 개성공단 통행.통신.통관 등 3통 문제해결과 이를 통한 개성공단 국제화 발판 마련, 북측이 일방적으로 연기한 이산가족상봉 실시 후 금강산 관광 재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다소 후퇴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 것이다.
이 당국자는 "남측에서 다른 일이 벌어지는 것이 없고"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대목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백해무익한 비방중상을 끝낼 때가 되었으며 화해와 단합에 저해를 주는 일을 더 이상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제안한 뒤 남측의 반응을 지켜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북측의 "좋은 계절에 마주앉을 수 있을 것"이라는 데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동절기에는 상봉행사를 하기가 애로사항이니까 봄경에 하자는 것 아닌가 본다. 물리적 계절을 지칭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동절기에는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금강산지역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사실상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하자는 남측 제의를 북측이 간접적으로 거절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7문단: ' ' 작은 따옴표를 썼으나 문장을 인용한 것이므로 " " 겹따옴표로
8문단: 관광문제→관광 문제
그때가서→그때 가서('가서'는 조사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10문단: 봄 경에→봄경에(여기서 '경'은 접미사로 붙여 써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