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설 계기 이산가족상봉을 제의한 지 이틀이 지난 8일 현재, 북한은 답을 주지 않고 있다. 이날 오전 9시부터 개시된 판문점 연락관 통화는 오후 4시 마감통화때까지 북측으로 부터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어제에 이어 오늘 현재까지 아직 우리 측 제안에 대한 회답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일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설 계기 이산가족상봉을 제안했으며, 후속 조치로 당일 대한적십자사 명의로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앞으로 오는 10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제의하는 전통문을 보냈다.
지난해의 경우, 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를 통해 추석계기 이산가족상봉을 제안, 16일 전통문을 보냈으며, 이에 북측은 18일 일요일 <조선중앙TV>를 통해 회담제의 수용을 발표했고, 19일 회신 전통문을 보낸 바 있다.
한편, 정부는 이산가족상봉 행사와 금강산 관광 재개를 분리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상봉행사 장소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가 아닌 서울과 평양을 오가는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박 부대변인은 "금강산 관광과 이산가족 상봉은 별개의 사안이다. 별개로 우리가 대응한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라고 말했다.
북측은 이산가족상봉 행사를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치르자는 입장이며, 금강산관광 재개도 함께 다루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추가, 16:12)
조정훈 기자
whoony@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