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현재 한반도 정세와 우리의 안보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고 보고, 정부가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갖춰 국민께 믿음과 신뢰를 드림으로써 국민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이정현 홍보수석이 전했다.
박 대통령은 또한 “외교안보 부서를 중심으로 북한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굳건한 안보태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모든 상황에 대비한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하고, 군과 경찰은 경비태세를 한층 강화하며 공직자들도 근무기강 확립에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앞서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범국가적 차원에서 민관군이 총체적으로 대비하라”고 지시하고 “군과 경찰은 다양한 유형의 도발 등에 대비해 특히 서해 5도를 비롯한 북한 인접 지역의 감시 등 안보태세를 강화하고 치안 유지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NSC내 상설 사무조직은 노무현 정부 당시 NSC 사무처 형태로 존치했다가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됐으며, 현재는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 간사로 있는 국가위기관리실에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NSC 회의조차 열리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상설 사무조직 설치 지시의 진의가 무엇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박 대통령은 또한 “한미 연합 방위태세를 강화하는 등 한미동맹 차원의 협력 체제를 긴밀히 유지하고 아울러 관련국 및 국제사회와도 정보공유와 대북공조 노력을 지속해 나가달라”고 주문하고 “이럴 때일수록 정부와 국민이 일치단결하여 현 정세에 주도면밀하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청와대에서 김기춘 비서실장과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주철기 외교안보수석이, 정부에서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 류길재 통일부 장관,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참석했다.
(2보, 18:54)
김치관 기자
ckkim@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