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사무처장 등 관계자들이 지난 9월 30일 개소식에 앞서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통일부]

개성공단 발전적 정상화, 이산가족상봉,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남북간 현안이 산적해 있지만 해결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연일 남북이 상호 비방을 이어가는 속에서도 남북간 유일무이한 공식 통로로 활용되는 기구가 있다. 바로 개성공단 남북 공동위원회 사무처이다.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사무처(이하 사무처)는 지난 8월 남북이 '공동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합의서'를 채택하면서 '상설 사무처'를 두기로 합의한 데서 시작됐다. 그리고 이어 9월 30일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 4층에 임시 사무처가 개소됐다.

사무처는 그 동안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남북 공동위원장단 회의, 산하 분과위원회 회의 개최 등 남북간 접촉을 위한 최전선에서 활동해왔다. 그리고 지난 10월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여야 국회의원들의 대규모 방북에도 매개체가 됐다.

사무처에는 남측에서는 이주태 사무처장을 포함 9명이, 북측은 윤승현 사무처장을 포함해 5명이 각각 분리된 공간에서 업무를 하고 있다. 여기에 남북은 각각 3명씩 인원을 추가 증원할 예정이다.

남북 사무처장은 매주 1회 이상 지금까지 총 10회 회의를 가졌으며, 실무회의는 매일 오전 9시 반에 열리고 있다. 또한 사무처간 직통전화를 개설, 전화를 주고받으며, 팩스 등을 이용해 상시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분리된 공간이지만 같은 층을 사용하기에 화장실이나 흡연공간에서 마주칠 기회는 잦다. 그리고 남북이 각각 무전기를 지니고 있어 긴급연락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사무처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근무를 원칙으로 한다. 우리측 사무처 직원들은 통상 오후 6시까지 근무하지만, 북측 직원들은 5시 이전에 퇴근하는 사례도 종종 있어 우리측에서 합의사항을 지켜달라고 요청했다는 풍문도 있다.

하루 24시간, 게다가 토요일과 일요일에도 근무하는 사무처 직원들은 당직표에 따라 순환근무를 하고, 북측 관계자들은 자신들의 숙소에서 생활한다. 우리측 직원들도 일부는 임시숙소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비상상황을 대비해 사무실에서 쪽잠을 잔다고 한다.

▲ 이주태 남측 사무처장(오른쪽)과 윤승현 북측 사무처장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통일부]

남북 당국간 매개역할을 하는 사무처가 특별한 사안이 없을 때는 무슨 일을 할까? 사무처 관계자는 개성공단 입주업체를 둘러보며 애로사항을 청취한다고 전했다. 이는 북측도 비슷하다고 한다.

사무처 관계자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북측 사무처 인원 중에는 분과위 위원도 있다. 개성공단 현안도 파악해야 하고 기업인들을 만나 어려운 점도 묻고 그런 일을 한다"며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명분을 쥐려고 하고 실제로 그렇게 일도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측과 이야기하다 보면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해서 성의를 갖고 있다는 느낌"이라며 "국회의원들이 방문할 당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에 건의하려고 온다고 설득하니까 이해를 하더라"고 말했다.

그리고 분과위가 2달 가까이 열리지 않았을 때에도 "입주기업들의 거래선이 끊기고 있는데, 분과위가 열려야 안정적으로 운영되는구나 하고 인식하게 된다는 이야기에 설득력이 있었다"고 전했다.

물론, 남북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상황에서, 특히 박 대통령에 대한 실명비난이 거센 가운데 사무처 회의도 순탄치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무처 관계자는 "각종 현안들을 두고 이야기하다 보면 언성을 높일 때가 있다. 대남비방도 하고 그러면 분위기가 험악해진다"며 "그럴 때는 '정세에 영향없이'라고 명시된 남북 합의서를 꺼내들면 본래 논의로 돌아간다"고 말했다.

얼어붙은 남북관계 상황 속에서, 사무처는 남북당국간 협력의 '매파'로, 남북 공동운영의 '산파'로, 새로운 개성공단을 위한 '허파'로,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편안한 '소파'로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출범 2달 남짓 된 사무처의 역할은 아직까지 미미하다. 남북 사무처 직원들은 회의 외에는 별도로 함께 식사를 하지 않고 있다. 아직까지 탐색전을 하는 상황인 셈이다.

하지만 유일한 남북 당국간 공식 기구로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지원하는 기본 목표를 넘어 남북관계 현안을 하나씩 풀어가는 조직이 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