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현실 발전의 요구에 맞게 신용카드 보급과 관리운영 사업을 보다 원만히 전개해나가기 위한 경제실무적 및 법률적 대책들을 적절히 취해나감으로써 강성국가 건설을 더욱 다그쳐야 할 것이다.”
북한의 계간 학술지 <정치법률연구> 최신호가 자본주의 국가의 신용카드 거래 제도를 구체적으로 소개하면서 신용카드 보급을 위한 준비사업을 언급했다. 북한 당국이 앞으로 자체적으로 신용카드를 발행하거나 국제 신용카드의 사용점을 확대하려는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외국인 대상 제한적으로 신용카드 사용 허용

북한에서 신용카드 사용은 1990년대부터 시작됐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그것도 대단히 제한된 곳에서만 이뤄져 왔다.

▲ 2002년 8월 평양 만수대창작사 판매원이 달러를 받고 있다. 옆에 사용 가능한 신용카드의 종류가 제시돼 있다.


▲ 평양에서도 DHL 서비스가 가능하다. [자료사진 - 민족21]
2002년 8월 고려호텔에 갔을 때 신용카드 사용이 가능한 지 묻자 호텔봉사원은 “사용할 수 없다”라고 대답했다. 그런데 방문기간에 만수대창작사의 그림판매점을 가보니 ‘VISA’카드나 ‘MasterCard’, ‘JCB’카드를 사용할 수 있었고, DHL로 구매한 그림을 해외로 부칠 수도 있었다. 이곳의 판매원은 “1,000달러 이상의 고가 그림이 많아 그림을 구입하려는 손님들의 편의를 위해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했고, 그림의 손상을 막기 위해 다른 나라까지 배달하는 봉사를 갖추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림 판매수익을 높이기 위해 제한적으로 신용카드 사용을 허용한 것이다.

1년 뒤인 2003년 8월 다시 평양에 갔을 때 실제로 호텔에서 신용카드 사용이 불가능한지 확인해보기로 했다. 우선 체류기간 내내 커피숍, 카페 등에서 발생한 모든 개인비용을 방으로 달아놓았다. 그리고 체류 마지막날 개인비용을 정산할 때 현금이 없다고 버텼다. 곤란을 표정을 지으며 한참 동안 실랑이를 하던 호텔 직원이 마침내 구식 휴대용 신용카드단말기를 가지고 나와 결제를 했다. 한달 후 나온 신용카드 청구서에는 ‘보통강호텔’이라고 영문으로 찍혀 있었다.

당시 북한이 신용카드 사용을 꺼린 이유를 2가지로 추측해 봤다. 하나는 북한의 기업들이 하루, 한달 단위로 바로 바로 매출 결산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후불로 청구되는 신용카드 사용은 상당히 복잡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 같았다. 다른 하나는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가 일상화되어 있는 조건에서 혹시나 사후 결재가 이뤄지지 않을 것을 우려했던 것 같았다.

2005년에 첫 현금카드 발행

▲ 2005년 처음으로 발행된 현금카드의 기능과 가맹점을 홍보하는 안내문. [자료사진 - 민족21]
그러나 북한도 세계적 추세로 되어 있는 전자결제를 마냥 미룰 수만은 없었을 것이다. 실제로 북한은 2005년 ‘실리’라는 이름의 IC현금카드를 처음으로 발행했다. 이 현금카드는 합영은행인 동북아시아은행이 발행한 것으로 은행에 돈을 미리 넣고,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2006년 5월 가맹점 중 하나인 평양 아리랑식당에 가보니 입구에 ‘우리나라에서 첫 현금카드 발행’이라는 제목으로 현금카드를 선전하는 광고문이 붙어 있었다.

“-현금의 보관기능 : 카드 한장으로 조선원과 유로, 일본엔, 중국원을 비롯하여 5-6가지 종류의 화폐를 입금 및 출금할 수 있습니다.
-봉사지점에서 현금결제에 리용가능합니다.”

현금카드의 장점으로는 “카드를 리용하시면 봉사단위들에서 잔돈처리를 깨끗이 할 수 있습니다”, “은행을 경유하므로 위조화폐의 류통을 방지합니다”, “잔돈이나 현금지폐들을 가지고 다니지 않으므로 현금소유의 문화성이 보장됩니다”, “본인의 신분이 확인되면 임의의 시각에 요구하는 금액만큼 현금을 출금받고 카드의 잔액수를 줄여줍니다” 등이 적혀 있었다. 당시 가맹점은 평양호텔, 창광외국인숙소식당, 네거리상점 등 13개였다. 사실상 북한 주민보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했다고 할 수 있다.

첫 현금카드 발행 후 5년이 지난 2010년 조선무역은행이 전자결제 카드인 ‘나래’를 발행하고, 다음해 고려은행이 ‘고려’카드를 발행하면서 북한에서는 본격적으로 현금카드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나래’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도 2년 만에 평양의 전 구역으로 확대돼 주요 호텔과 식당, 외화상점, 슈퍼마켓, 모든 손전화봉사소(휴대폰판매소) 등 120곳을 넘었다. ‘나래’카드는 대외결제은행 외화교환소에서 미화 3달러의 가입비(카드 발급비)를 내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국의 모든 외화 봉사단위들에서 상품과 용역에 대한 대금을 지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나래’카드 설명서, ‘나래’카드(내국인용), ‘고려’카드, 북한의 첫 슈퍼마켓인 ‘광복지구사업중심’의 계산대 모습. 북한 주민들은 현금 또는 현금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 [자료사진 - 민족21]
다만 ‘나래’카드는 외화로만 ‘충전’이 가능하다. ‘나래’카드 사용설명서에는 “전자결제카드 ‘나래’는 외화봉사단위들에서 상품 및 봉사대금을 지불할 때 사용하는 전자지불수단으로서 모든 대금지불을 무현금결제의 방법으로 신속정확히 진행”할 수 있다며 “외화교환소에서 발행받으려는 손님(외국인 포함)으로부터 외화현금을 받고 당일 외화교환시세에 따라 환산한 우리 돈을 카드에 입금시켜 줍니다”라고 되어 있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국인에게는 빨간색, 외국인에게는 파란색의 카드가 발급된다.

카드를 발급 받을 때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세 번 연속 틀리면 카드 결제가 자동으로 중지된다. 카드를 파손하거나 분실하면 신분 확인 후 재발급하는 등 국제사회의 카드 사용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평양에서 ‘나래’ 카드를 직접 사용해본 외국인들은 “물건값으로 100유로를 내면 거스름돈이 없어 오랫동안 기다렸지만, ‘나래’카드를 사용하면 훨씬 빨리 지불할 수 있어서 좋다”,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 외국인으로서 일일이 환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북한 당국은 지난해부터 외화뿐만 아니라 북한돈 전용 현금카드를 도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단 국가은행에 돈을 저축하고, 그 금액만큼 상점 등에 가서 물건을 구입할 수 있는 일종의 ‘체크카드’다. 북한 주민들에게도 현금카드 사용을 권장하기 시작한 셈이다.

최근 북한이 현금카드 사용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신용카드 도입을 언급한 것은 전자결제시스템이 안정화되고 주민들이 카드 사용에 익숙해졌다고 판단한 결과로 보인다. ‘세계적 추세’가 강조되는 김정은시대에 들어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신용카드 사용까지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 5월 “전자결제 방법의 적용은 시대의 요구이며 그 우월성은 이미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휘되고 있다”며 “모든 상업기업소(백화점, 상점 등 유통업체)들에서는 결제의 전자화, 정보화를 실현하기 위한 투쟁을 보다 힘있게 벌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카드사용 확대를 통해 주민들과 외국인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민간에 유통되는 외화를 재정으로 흡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당국은 민간영역에 40억 달러 상당의 외화가 잠겨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카드 사용을 권장해 외화와 현금 사용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의도도 갖고 있다. 북한 당국이 고위 관리나 군인들에게 카드를 지급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목적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부터 인민군 장성들에게 일정액의 외화가 충전된 전자결제카드를 지급해 평양의 외화상점과 식당, 청진과 함흥 등 지방 휴게소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생활비 외에 군 산하의 무역회사를 통해 개별적으로 외화를 조달해 보관, 사용하는 것을 차단하고, 현금 사용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북한은 올해 초부터 외화를 취급하는 모든 개인과 기업소, 기관에 ‘내화 구좌’와 함께 ‘외화 구좌’를 별도로 개설해 거래토록 하고 실제 시장에서 통용되는 환율을 적용하고 있는데, 기업들이 대금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다가 당국에 압수되거나 높은 시장환율로 불법적으로 환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과거 북한에서는 거래대금을 24시간 안에 은행에 예치하도록 했는데, 내화와 외화 계좌가 없는 경우에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가 압수 당하는 경우가 있었다. 김정은시대에 들어와 이처럼 불필요한 사유로 규정을 위반하거나 개별적으로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현상을 없애려 내화와 외화 계좌를 모두 가질 수 있게 허용한 것이다.

사회 전반에 전자카드 도입 확대

또한 기업과 기관의 자금사용에서 전자결제비율을 높여 자금이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북한은 전자결제가 유동자금이 결제과정에 머무르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여 주며, 전자결제로 자금 회전 속도가 높아지면 상품 유통도 원활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유동자금이 결제과정에 머무르는 시간’, 즉 자금이 개인과 기업소, 기관에 있는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자금의 유용, 횡령 등을 전자결제 시스템의 상용화를 통해 방지하겠다는 정책의지가 내포돼 있는 것이다.

결국 북한이 ‘나래’, ‘고려’ 등 현금카드 사용을 확대하고, 신용카드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은 ‘전자카드’가 일반화 된 세계적 추세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민간에 잠재돼 있는 외화를 흡수하고 기업과 기관의 자금 사용에서 투명성을 높이려는 다목적 포석이 깔려 있다.

▲ 김책공업종합대학 전자도서관 출입 전자카드. 북한은 2000년대 중반부터 경제, 사회분야에서 전자카드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자료사진 - 민족21]
북한은 앞으로 현금.신용카드를 활용한 금융분야의 전자결제 외에 전자칩이 내장된 ‘전자 공민증(주민증)’ 도입 등 사회 전반에 전자카드 도입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2000년대 중반부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능을 활용해 인민대학습당, 김책공업종합대학 전자도서관 등의 출입증을 전자카드로 바꿨고, 남쪽과 기능이 유사한 교통카드도 발급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0월 7일 강윤일 평양정보기술국(구 평양정보쎈터) 카드연구소장도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세계적으로 전자카드가 전자현금카드, 지하철운임카드, 버스운임카드, 전화카드, 의료카드, 출입카드, 전자여권 등에 이용되고 있다고 소개한 후 북한에서도 전자카드 이용 분야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이 활발하다고 주장하며 전자카드가 경제를 현대화, 정보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북한은 2011년 5월 평양정보쎈터가 전자결제카드, 출입카드, 급양봉사카드, 도서관리용카드 등의 여러 가지 전자카드를 개발했다고 공개했다. 바야흐로 북한에서도 전자카드 활용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것이다.


<2012년 현재 평양의 ‘나래’카드 가맹점들>

△ 중구역 Junggu district
고려호텔 Goryeo
창광외국인숙소 Changkwang weigukin sukso (Changkwang foreigners Inn)
민항상점 Minhang sangjeom (Minhang store)
동성교상점 Dongseongkyo sangjeom (Dongseongkyo store)
부흥상점 Buheun...g sangjeom (Buheung store)
평양호텔Pyongyang Hotel
창광산려관 Changkwangsang Ryeogwan (Changkwangsan Inn)
청류관 Cheungryugrwan
대동강 1식당 Daedonggang 1 shikdang (Daedon river 1 restaurant)
대동강4식당Daedonggang 4 shikdang (Daedon river 4 restaurant)
소백수 1호배식당 Sobaeksu 1hobae shikdand (Sobaeksu 1hobae restaurant)
청운산상점 Cheungwunsan sangjeom (Cheungwunsan store)
은방울상점 Eunbangeul sangjeom (silver bell store)
경흥은하수판매소 Gyeunghung eunhasu panmaeso (Gyeunghung milky way store)
수성상점 Suseung sangjeom (Suseung store)
평양건재상점Pyongyang geunjae sangjeom (Pyeongyang geunjae store)
광량원 Gwangryangwon
학봉상점 Hakbong sangjeom
천지관 Cheunjigwan
대동강식당Daedonggang shikdang (Daedon river restaurant)

△ 서성구역 Seosung district
평양외국인숙소Pyongyang weigukin sukso (Changkwang foreigners Inn)
해당화식당 Haedanghwa shikdand (Haedanghwa restaurant)
금롱상점 Gumrong sangjeom (Gumrong store)
와산상점 Wasan sangjeom (was an store)
대경판매소(서성) Daekyeong panmaeso(Seosung) (Daekyeong store (Seosung))
건국판매소 Gunkuk panmaeso (Gunkuk store)
금강전시장 금강분점 Gumgang jeonsijang Gumgang bunjeom (Gumgang exhibition center Gumgang branch)

△ 전국의 모든 손전화 봉사점들 All cell phone stores nationwide

△ 모란봉구역 Moranbong district
평양정보봉사판매소흥부분점Pyongyang jeongbo bongsa panmaeso hungbu bunjeom (Pyongyang information service store hungbu branch)
모란상점 서흥분점 Moran sangjeom seohung bunjeom (Moran store seohung branch)
승리전시장 Sungri jeonsijang (sungri exhibition center)
모란정보기술교류사 Moran jeongbo gisul goryusa (Moran information technology store)
연풍정보기술교류사 Yeonpung jeongbo gisul goryusa (Yeonpung information technology store)
북새기술원 Buksaegisulson (Buksae technology store)
모란식당 Moran sikdang (Moran restaurant)
류학생숙소 Ryuhaksaeng sukso (international student accommodations)
모란봉꽃상점 Moranbong kkot sangjeom (Moranbong flower shop)
북새상점 Buksae sangjeom (Buksae store)
모란봉호텔 Moranbong hotel
계명사진관상점 Kemyong sajingwan sangjeom (Kemyong photo shop)
평양건흥상점Pyongyang gunhung sangjeom (Pyongyang gunhung store)

△ 평천구역 Pyeonchun district
건명상점 Gunmyeong sagnjeom (Gunmyeong store)
록산상점 Roksan sangjeom (Roksan store)
금별상점 Gumbeol sangjeom (Gumbeol store)
경은상점 Gyeongeun sangjeom (Gyeongeun store)
청춘제일합영회사 Chengchun cheil habyoung hweisa (Chengchun cheil company)
은방울식당 Eunbangul sikdang (silver bell restaurant)
연풍판매소Yeonpung panmaeso (Yeonpung store)
진흥건구제작소 Jinhung gungu chejakso (jinhung furniture store)
대경판매소(평천) Daegyeong panmaeso (pyeongchen) (Daegyeong store (pyeongchen))
영광식당 Yonggwang shikdang (Yonggwang restaurant)
보통강려관 Botonggang ryogwan (Botonggang Inn)
동양상점 Dongyang sangjeom (Dongyang store)

△ 동대원구역 Dongdaewon district
평양상점Pyongyang sangjeom (Pyongyang store)
대동강 3식당 Daedonggang 3 shikdang (Daedonggang 3 restaurant)
617 무역회사본점 617 muyok hweisa bonjeom (617 trade company head shop)
동대원대성차봉사소 Dongdaewon daesung cha bongsaso (dongdaewon vehicle service center)
의암상점 Euiam sangjeom (Euiam store)

△ 대동강구역 Daedonggand district
해맞이식당 haemaji shikdang (Haemaji restaurant)
고려류경합작회사 Goryoryugyeong habjak hweisa (Goryoryugyeong company)
압록강다이야판매소 Abrokgang daiya panmaeso (Abrokgang tire store)
락연상점 Rakyeon sangjeom (Rakyeon store)
대동강꽃상점 Daedonggang kkot sangjeom (Daedonggang flower shop)
송암소고기판매소 Song-am sogogi panmaeso (Song-am beef store)
경흥판매소 Gyeonghung panmaeso (Gyeonghung store)
문흥동양상점 Munhung dongyang sangjeom (Munhung dongyang store)

△ 락랑구역 Rakrang district
록산원 Roksanwon
은풍판매소 Eunpung panmaeso (Eunpung store)
평양정보봉사판매소 통일분점 (Pyongyang jungbo bongsa panmaeso tongil bunjeom (Pyongyang information service store tongil branch)
오리고기전문식당 o-ri-gogi jeonmun shikdang (Duck meat restaurant)
평양단고기집 Pyongyang dangogijim (Pyongyang meat restaurant)
하나전자제품판매소 Hana jeonjajeipum panmaeso (Hand electronics store)
대동강정보기술봉사쎈터 Daedonggang Jeongbo gisul bongsa ssenter (Daedonggang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center)
은별상점 Eunbeol sangjeom (Eunbeol store)
명오상점 Myong-o sangjeom (Myong-o store)
금강창립전시장 Gumgang changrip jeonsijang (Gumgang establishment exhibition center)
롱라도은성판매소 Rongradoeunsung panmaeso (Rongradoeunsung store)
통일거리건재전시장 Tongil geori gunjae jeonsijang (unification street exhibition center)
물길종합도매판매소 Mulgil jonghab domae panmaeso (Mulgil merchandise mart)
메아리음향사 Me-a-ri umhyangsa (Echo record shop)
금강전시장 Gumgang jeonsijang (Gumgang exhibition center)
락랑숙소 Rakrang sukso (Rakrang Inn)
토성판매소 Tosung panmaeso (Tosung store)

△ 만경대구역 Mankyeongdae district
해운대성판매소 광복분점 Haewundaesung panmaeso gwangbokbunjeom (Haewundaesung store gwangbok branch)
평화자동차회사 Pyonghwa jadongcha hweisa (Pyonghwa automobile company)
련봉상점 Ryeonbong sangjeom (Reyonbong store)
축전려관 Chukjeonryegwan (Chukjeon Inn)
륜전기재선내차수리소 Run-jeongi-jaesun-naecha suriso (Run-jeongi-jaesun-naecha repairable station)
청춘관 Chungchungwan
선흥식료판매소 Sunhung silryo panmaeso (Sunhung grocery store)
대성연유판매소 Daesung yeonyu panmaeso (Daesung gas station)
만경대대성차봉사소 Mankeyongdae daesungcha bongsaso (Mankeyongdae vehicle service center)
대성은복상점 Daesung eunbok sangjeom (Daesung eunbok store)
선내승용차수리소 Sunnae sungyongcha suriso (Sunnae vehicle repairable station)
은하수식료공장판매소 Eunhasu sikro gongjang panmaeso (milky way food store)
청년호텔기술봉사소 Cheongneyon hotel gisul bongsaso (Cheongneyon hotel service center)
량강호텔 Ryanggang hotel
천명연유판매소 Cheunmyeong yeonyu panmaeso (Cheunmyeong gas station)

△ 대성구역 Daesung district
승리상점 Sungri sangjeom (Sungri store)
봉수상점 Bongsu sangjeom (Bongsu store)

△ 사동구역 Sadong district
대동강2식당 Daedonggang 2 shikdang (Daedong river 2 restaurant)
맥주판매소 Maekju panmaeso (Beer store)
대성다이야상점 Daesung daiya sangjeom (Daseung tire store)

△ 보통강구역 Botongang district
모란상점 Moran sangjeom (Moran store)
밀림상점 Milim sangjeom (Milim store)
서재각 Seojaegak
봉화피복연구보급실 Bonghwa pibok yeongu bogubsil (Bonghwa clothes research store)
경흥정보기술교류사 Kyeonghung jeongbo gisul gyoryusa (Kyeonghung information technology store)
보통교상점 Botonggyo sangjeom (Botonggyo store)
락원대성상점 Rakwon daesung sangjeom (Rakwon daesung store)
대성판매소 Daesung Panmaeso (Daesung store)
보통강정보기술교류사 Botonggang jeongbo gisul gyoryusa (Botonggang information technology store)
국세상점 Guksae sangjeom (Guksae store)
강흥전시장 Ganghung Jeonsijang (Ganghung exhibition center)
보통강해양상점 Botongang haeyang sangjeom (Botongang marine store)
북새상점(류경) Buksae sangjeom(Ryugyeong) (Buksae store (Ryugyeong)
상록상점 Sangrok sangjeom (Sangrok store)
모란전시장 Moran Jeonsijang (Moran exhinition center)
평양정보쎈터Pyongyang Jeongbo center (Pyeongyang information center)
상명상점 Sangmyeong sangjeom (sangmyeong store)
보통강반상점 Botonggangban sangjeom (Botonggangban store)
학봉의약품 Hakbong euiyakpum ( Hakbong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