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 2곳이 자산 매각을 진행 중이다. 또한 1개 업체도 철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6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기업을 매각하고 철수하려는 기업이 2개 정도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이 외에도 1개 정도가 철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자산 매각 중인 기업은 섬유업종 1곳, 전기.전자업종 1곳 등 총 2곳으로 개성공단 가동중단 이후 거래처 미확보, 운영자금 고갈, 판로 확보 어려움 등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추가로 철수를 검토 중인 1개 기업은 아파트형 공장에 입주한 기업으로 경영악화가 주원인으로 파악됐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경영상황에 따라 기업간 양수 및 매각.매도가 있어 왔지만, 이번의 경우는 개성공단 가동중단 이후 재가동된 상태여서 주목된다.

이와 관련, 김의도 대변인은 "철수 관련해서 검토정도는 하고 있는 기업이 추가로 있을 수 있다"며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진척된 그런 기업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철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철수는 바이어 이탈, 운영자금 부족 등 경영 요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부는 개성공단이 80%내외 가동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지만, 입주기업들은 50% 내외가 실제 가동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중 전자.기계 부품 45개 기업 중 45%만 가동되고 있다.

게다가 지난 3월 평균 2만5천명의 북측 근로자가 연장근무를 했던 데 반해 10월 말 현재 1만5천여명이 연장근무를 하고 있어, 바이어 이탈로 인해 일감이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정부가 경협보험금을 수령한 입주기업들에게 즉시 상환을 요구하는 터라 운영자금 부족에 시달리는 입주기업들의 철수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9월 현재 총 59개사가 1천761억원의 보험금을 수령, 이 중 총 14개사가 446억원을 반납했지만, 나머지 기업들에 대해 정부는 즉시 상환을 하지 않을 시 계약에 따라 연체금을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이 외에도 남북 당국간 통행.통신.통관 분과위원회가 무기한 연기된 상황에서, 입주기업들의 '손톱 밑 가시'인 인터넷 사용, 통행.통관 간소화 등이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도 개성공단 이탈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통일부는 자산매각 2개 업체는 개성공단 철수가 아니라 소유주가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개성공단 위기상황이 아니라는 반응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에 자산을 매각하는 2개 업체의 소유주가 바뀌는 것이다. 새로운 소유주가 남북협력사업 승인을 받는 마지막 절차가 남아있는 상황"이라며 "개성공단 철수라고 보기 어렵다. 규모가 축소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최근 폐업을 검토 중인 아파트형 공장 입주기업과 같은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아파트형 공장은 별도의 공장시설이나 부지를 임대받지 않고 기업들이 임차한 형태로, 다른 사업자에 매각.매도할 수 없다. 그렇기에 이들 기업의 폐업신고는 개성공단 철수가 된다.

현재 폐업 검토 중인 아파트형 공장 입주기업 1곳이 폐업신고를 한다면,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숫자가 줄어들게 된다.

그럼에도 통일부는 상황을 속단하기 이르다는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아파트형 공장 입주 기업은 다른 기업과 경우는 다르다. 폐업신고를 하면 곧 바로 철수가 되는 것"이라며 "하지만 속단하기 이르다. 시간을 더 지켜봐야 제대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