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23일)로 예정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이 남측의 요구대로 판문점 남측구역에 있는 ‘평화의 집’에서 열리게 됐다.

통일부 관계자에 따르면 북측 조국평화통일위원(조평통)은 실무접촉 하루 전인 22일 오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남측의 제안대로 ‘판문점 평화의 집’ 개최에 동의해왔다. 북측은 당초 실무접촉 장소로 금강산을 제안한 바 있다.

전날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발표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여러 가지 회담운영 편의를 위해서 (판문점을 제안)한 것이지 다른 의도는 없다”며 “개성실무회담을 개성공단에서 계속해왔기 때문에 이후에 회담이 벌어지면 우리지역에서 하는 것이 과거 관례”라고 말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측이 판문점 안을 수용한데 대해 “우리 정부의 진정성 있는, 성의있는 자세에 북한이 호응해 온 것으로 본다”고 평했다.

정부는 우리측 적십자 실무회담 대표단 명단을 오늘 오후 북측에 통보할 예정이며, 화상상봉과 이산가족 상봉에 국군포로.납북자를 포함시키는 문제 등도 협의한다는 구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산가족 상봉이 금강산에서 진행돼 이들이 금강산 관광을 하게 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분리해서 투 트랙으로 간다”면서도 “여러 가지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이전에 금강산관광 문제가 해결되고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금강산에서 열린다면 이산가족들의 금강산관광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것이다.

북, “금강산 관광은 빨리 재개했으면 좋겠다”

북 조평통은 또한 이번 전통문에서 남측이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 일정을 9월 25일로 수정제안한데 대해 “금강산 관광은 빨리 재개했으면 좋겠다”는 뜻을 전하고 8월말∼9월초 금강산에서 개최할 것을 다시 제안했다.

북측은 당초 금강산 실무회담을 이산가족 상봉과 연계해 이달 22일 금강산에서 갖자고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내부 검토를 거쳐 정부 입장을 정한 다음 회신을 해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류길재 장관은 전날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조건은 복잡하지 않다”며 “남북관계 전체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 우리가 좀더 생각해봐야 겠고, 그런 것을 고려한다는 뜻”이라고 말한 바 있다.
 
(추가, 12:06)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