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공단 재가동을 위한 남북 7차 실무회담이 14일 오전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 13층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리고 있다.
남북은 이날 오전회의 2차례를 열고, 개성공단 가동중단 재발방지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번 회의에서 남측은 북측에 수정안을 제시, 구체적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지난 6차 실무회담에서 밝힌 입장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회담에서 남측은 재발방지 보장과 관련, "북측은 앞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공단의 정상적 가종을 저해하는 통행제한 및 근로자 철수 등과 같은 일방적 조치가 없을 것이라는 점을 보장한다"고 명시할 것을 주장했다.
즉, 지금까지 가동중단 재발방지 주체를 두고 '북측'을 강조해왔지만, 이번 7차 실무회담에서 완화된 표현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날 북측은 지난 7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 내용을 입장으로 설명했다.
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에는 재발방지 보장과 관련, "북과 남은 공업지구중단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며 어떤 경우에도 정세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공업지구의 정상운영을 보장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지난 여섯 차례 회담에서 정치적 언동과 군사적 위협 중단을 강조해왔던 점에 비춰 완화된 입장을 보인 것이다.
이에 따라 이번 회담은 재발방지 보장을 두고 합의서 문안에 '북측'이라는 주체를 명시할 것인가, '남과 북'으로 표현을 낮출 것인지가 관건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측은 합의서 수정안을 제시했고 쌍방은 이를 중심으로 의견을 교환했다"며 "오전회의에서 제시된 사항에 대해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하고 회의를 종료했다"고 말했다.
재발방지 보장과 함께 남북은 북측이 제시했던 개성공단공동위원회 설치 문제와 북측이 받아들인 개성공단 국제화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