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운명을 결정지을 날이 다가왔습니다. 광복절 하루 전인 14일에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7차 남북 실무회담이 열립니다. 이 회담에서 남북관계의 마지막 보루인 개성공단이 재가동하느냐, 아니냐의 판가름이 사실상 날 것이기에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번 회담이 결렬된다면 남북관계는 아무런 접점이 없는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번 회담을 통해 개성공단이 재가동된다면 전반적인 남북관계 개선에 탄력을 받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4일 열릴 7차 회담은 개성공단의 생사를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향방에도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번 회담을 앞두고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먼저, 북측이 적극적입니다. 북측은 지난 4일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의 10주기를 맞아 김정은 제1위원장의 구두친서를 보냈으며, 금강산관광사업과 개성공단사업이 정 전 회장의 유훈사업임을 내세우며 분위기를 띄었습니다.

나아가, 북측은 지난 7일 개성공단 7차 회담 개최를 제의한 이후 지속적으로 각종 매체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노동신문>은 12일에도 “북남관계를 불신과 대결의 관계로부터 신뢰와 화해의 관계로 전환시키는 것은 시대의 요구”라며 남북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또다시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남조선 당국이 우리의 아량 있고 선의적인 조치에 긍정적으로 호응해 나왔더라면 북남관계는 이미 새로운 장이 펼쳐졌을 것”이라고 아쉬워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북측은 19일 시작되는 한미 합동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에 대해 지금까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어 주목됩니다. 물론 한미 군사훈련에는 예외 없이 강경 대응했던 전례에 비춰볼 때 판단은 시기상조일 수 있습니다.

이미, 우리 정부는 국제아동기금(UNICEF)의 북측 영유아 사업에 남북협력기금에서 약 67억5천만원을 지원하고, 또 남북 이산가족 영상편지 제작사업에 약 7억8천만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북측으로부터 방북 초청을 받은 어린이어깨동무와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가 대북 지원물자의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방북 신청 후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기도 합니다.

주변의 지원사격도 분위기 조성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방북한 박상권 평화자동차 사장은 9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김양건 북측 통일전선부장의 “개성공단이 잘돼야 비무장지대(DMZ) 세계 평화공원 조성도 가능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전해주기도 했습니다.

이 정도라면 남북 사이에 관계 개선이 될 분위기는 충족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7차 회담의 마지막 쟁점으로는 개성공단 가동 중단사태의 재발방지책 문제와 책임의 주체 문제로 집약되고 있습니다. 남과 북은 양보를 하던 타협을 하던 해서 이 분위기에 호응해 관계 개선의 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번 회담에서 개성공단 정상화가 성사되면 곧이어 추석맞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15주년을 맞는 11월에 즈음해 관광 재개를 점쳐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명박 정부 5년간에 걸쳐 망가진 남북관계가 박근혜 정부 들어 1년도 안 돼 복구가 되고, 박 대통령은 자신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본격 가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됩니다. 다음 날 박 대통령의 8.15 축사가 한층 의미 있게 다가올 것입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