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가동중단 등을 논의하는 개성공단 남북 7차 실무회담이 오는 14일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 13층 개성공업지구 관리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다.

통일부는 7일 오후 정부 입장을 통해, 북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의 회담제의를 받아들였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6시 반 '정부 입장'을 발표, "개성공단 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 정부의 당국간 대화 제의에 북한이 전향적으로 나온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남북간 회담은 북측이 제안한 대로 8월 14일 개성공단에서 개최하기로 한다"며 "이번 회담에서 개성공단 문제 해결과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회담을 수용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25일 6차 남북 실무회담 종료 이후, 남북이 20일만에 마주하게 됐다.

오는 7차 실무회담 수석대표는 남측에서는 김기웅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으로 할 예정이며, 북측도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을 단장으로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담에서는 지난 여섯 차례 실무회담 당시 첨예하게 대립했던 개성공단 가동중단 재발방지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6차 회담까지 북측은 '정치적 언동과 군사적 위협' 중단을 명시했지만, 남측은 '북측은 앞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공단의 정상적 가동을 저해하는 일방적 조치가 없을 것이라는 점을 보장한다'고 맞서 결렬 위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번 북 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에서 '북과 남은 공업지구 중단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며 어떤 경우에도 정세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공업지구의 정상운영을 보장하도록 한다'고 밝혔고, 이를 두고 정부는 '전향적'이라고 평가해 주목된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구체적인 사항에 대한 것보다는 총론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전향적으로 나온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측이 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를 통해 △잠정중단 조치 해제 및 기업인 출입 허용, △북측 근로자 정상출근, △남측 인원 신변안전 및 재산보호 보장 등을 언급한 것과 달리, 정부는 7차 실무회담 이후 기업인들의 출입을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부의 입장은 이날 오후 4시 판문점 연락채널 통화를 마감해, 언론보도로 북측에 화답하는 형식을 취했으며, 정부는 관련 절차를 통해 북측에 통보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북 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 발표 이후, 정부는 이날 오후 5시경 '1차 입장'을 통해 "개성공단 문제해결을 위한 당국간 대화에 호응해 나오라는 우리 정부의 거듭된 촉구에 대한 반응으로 평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오후 6시30분 내부 검토 이후 '회담 수용' 입장을 발표, 신속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추가, 18:47)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