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공단 남북 후속회담이 10일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리고 있다. 남북은 개성공단 정상화 조건을 두고 다른 입장을 보여 난항이 예상된다. [사진-개성 사진공동취재단]

개성공단 정상화를 두고 남북이 각기 다른 입장을 견지, 난항을 예고했다.

개성공단 가동중단 재발방지 등을 논의하는 남북 후속회담이 10일 오전 10시35분부터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리고 있다.

11시까지 진행된 오전회의에서 남북은 각기 개성공단 정상화 조건을 내놓았다.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해 남측은 "지난 북측의 일방적인 공장 가동 중단 조치로 입주기업이 입은 피해에 대해 북측의 책임있는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며 "누가 보고 들어봐도 이제는 더 이상 절대 일방적으로 통행과 통신을 차단하고 근로자를 철수시키는 일은 없겠구나라고 인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을 북측에 요구했다.

그리고 △개성공단은 안전한 공단이어야 한다는 점, △자유로운 기업활동 보장, △외국기업 투자 및 입주를 위한 국제화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북측은 개성공단 정상화 조건으로 일체 저촉 행위 중단을 강조했다.

북측은 개성공업지구 정상화에 대한 입장으로 '6.15공동선언', '우리민족끼리' 등을 언급, "개성공단 가동에 저촉되는 일체의 행위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설비점검 및 정비를 조속히 끝내고 재가동에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고 해 기존 공장가동 우선 원칙을 강조했다.

이는 개성공단 가동중단 원인이 남측의 최고존엄 모독에 기인한 것이라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앞서 북측은 지난 4월 김양건 대남담당 비서가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 조치를 내리면서 "남조선 당국과 군부호전광들이 우리의 존엄을 모독하면서 개성공업지구를 동족대결과 북침전쟁 도발의 열점으로 만들어 보려고 하는 조건"이라고 이유를 들었다.

하지만 우리는 가동중단 원인이 전적으로 북측에 있기에 재발방지 보장을 요구하고 있어, 회담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 일정은 오후 5시 마감이지만 예상을 따로 하지 않겠다"며 회담 연장 가능성을 내비췄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