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성공단 관련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에서 양측은 개성공단 정상화 방안을 놓고 이견을 보였다.
6일 오전 11시50분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실무회담이 열린 가운데, 양측은 개성공단 재가동 해법을 두고 다른 입장을 내놨다.
통일부 당국자에 따르면, 남측은 "북측의 일방적인 공단 가동 중단조치는 남북간 합의는 물론 스스로의 개성공업지구법도 위반한 것으로 남북간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한 "북측의 일방적 조치로 인해 우리 기업이 입은 피해에 대한 책임있는 입장표명과 재발방지 문제와 관련한 북측의 분명한 보장이 있어야 한다"며 북측의 재발방지 약속을 요구했다.
그리고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서는 이런 재발방지 약속을 토대로 공단의 단순 유지에서 더 나아가 국제적 규범에 부합하는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해 남북 양측이 노력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측의 재발방지 약속을 토대로, △완제품 및 원부자재 조속 반출, △이를 위한 우리측 인원 출입경 보장을 위한 통신선 조속 복구를 제기했다.
하지만 북측은 공장운영 우선 원칙을 강조, 남측의 재발방지 약속에 동의하지 않았다.
북측은 "개성공단 정상화와 관련해 조속한 원상복구와 가동할 수 있는 공장부터 운영하자"며 공장 운영 우선 원칙을 강조했다.
그리고 "개성공단 장마철 피해대책과 관련 기업들의 설비 점검 문제를 최우선적으로 협의해 나가야 한다"고 제의했다.
그러면서 "제품 및 원부자재 반출 문제와 관련해서는 우선 생산 제품부터 반출하고 원부자재는 재가동을 염두에 두고 불필요하게 반출하는 일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각기 다른 입장을 확인한 양측은 오후회의를 속개해 협의하기로 하였으나, 오전회의에서 개성공단 재가동 해법을 두고 이견을 보임에 따라 난항이 예고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