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관련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이 개최 합의를 두고 난항을 겪고 있다.

남북 당국은 4일 오전 10시반 부터 오후 7시가 넘도록 6일 회담장소를 두고 합의를 하지 못하고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측은 이날 오후 5시 판문점 연락관 접촉을 통해 정부의 개성공단 관련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 제의를 수정제의하며, 회담 장소로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가 3개월 동안 비워있는 점을 감안, 남측 인원이 5일 들어와 필요 준비를 할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날 오후 7시 15분경 북측에 기존 제안된 장소인 판문점 통일각 또는 평화의 집 을 고수했으며, 대신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도 회담장소로 추가 제의했다.

또한 북측이 개성공단 관련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과 동시에,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도 개성공단을 방문하자고 했지만, 이 마저도 정부가 거부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의 방북은 당국간 실무회담에서 논의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통보했다"고 말했다.

양측은 이번 실무회담의 급과 의제 등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견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북측은 실무회담에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을 수석대표로 3인을 통보했으며, 우리측은 서호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을 수석대표로 3인을 통보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과거에 전례를 보면 박철수 부총국장이 나왔다. 실제로 일을 하는 사람이 수석대표로 나오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의제와 관련, 우리측은 △개성공단 시설 및 장비점검, △완제품 및 원부자재 반출 , △개성공단 발전적 정상화 등을 제시했지만, 이에 대해 북측은 별다른 이견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