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전원철수 조치 이후, 미수금 납부-완제품.원부자재 반출 등에 대한 남북간 실무협의가 나흘째 난항을 겪고 있다.

현재 남북간 실무협의에는 우리측에서는 홍양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을 비롯 5명이, 북측에서는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 등 5명이 마주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2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오늘(2일) 우리측 인원의 귀환은 이뤄지지 않는다"며 "내일(3일) 귀환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현재까지 결정된 것이 없다. 실무적 문제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귀환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남북 양측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3월 월급 등 미수금 지급과 완제품.원부자재 반출 등을 놓고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간 실무협의 쟁점은 우리기업들의 3월 월급지급, 체불임금, 통신료, 기업소득세 등 약 70~80억원으로 남북이 총 미수금액을 놓고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북측이 제시한 금액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며, 우리측은 123개 기업으로부터 해당 사항을 종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123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정부에 구체적 미수금액을 알려주지 않고 있어 남북간 실무협의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당국자는 "123개 기업으로부터 취합하는 것이 정공법이지만 거기에만 얽메이지 않는다. 현실적인 방안을 찾고 있다"면서도 "다양한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정공법으로 하는 쪽이다 보니 최종 마무리가 안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완제품, 원.부자재 반출도 실무협의 쟁점이다.

우리측은 북측에 줄 것은 준다는 입장과 함께 완제품, 원.부자재 반출을 요구하고 있지만 북측은 이에 호응하지 않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는 줄기차게 입장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거기에 대해서 북한 측이 우리 기대에 맞는 반응을 보여온 것은 없다. 감안해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완제품과 원부자재를 들여오려면 차량이 있어야 한다. 현지에는 5대가 남아있다"며 "이들을 들여오려면 차량이 가야하고 업체 관계자들이 들어가서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또다른 절차적인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즉, 우리측은 미수금 처리와 완제품.원부자재 반출 동시 타결에 주력, 남북간에 두 쟁점이 완전히 합의되기 전까지 7명의 귀환이 장기간 늦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통일부는 이번 남북간 실무협의에는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한 논의는 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기본은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서 조치를 철회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실무협의) 수준에서는 (논의하기가) 너무 버거워서 말을 못하고 있다"며 "당국간 실무협의에도 북측이 나오지 않고 있다. 물론 (개성공단 정상화가) 기본은 깔려있지만, 이에 대해서 서로 의미있는 협의는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