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자정이 넘어서야 개성공단 체류자 50명 중 43명이 차량에 물건을 가득 싣고 입경(귀환)했다. [사진 - 통일뉴스]
개성공단 전원 철수 발표 이후, 남북은 3월 월급지급 등의 문제를 놓고 협의를 마치지 못해 우리측 인원 7명이 체류하기로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29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우리인원의 전원 귀환 전에 소위 미수금 지급을 요청했다"며 "미수금 정산문제 처리를 위해 당분간 일부인원 7명은 현지에 남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초 50명 중 43이 29일 밤 귀환하며, 홍양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위원장을 포함한 직원 5명, 한국통신 직원 2명 등 총 7명이 체류하기로 했다.

당국자에 따르면, 이번 전원 귀환에 따른 실무협의의 주요 쟁점은 우리측 기업의 3월 월급지급, 체불 임금, 통신료, 기업소득세 등이다.

구체적 미지급금 총액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양측은 금액을 두고 이견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우리측은 합의가 되면, 지급할 것은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이 당국자는 "기본적으로 개성공단 파행 책임이 북한에 있기는 하지만 우리가 지급할 것은 지급하고 요구할 것은 요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국민의 신변보호가 중요하고 남북간 합의한 것은 지켜져야 한다는 것을 고려해서 협의했고 앞으로도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체류 연장 결정과 함께, 협의 과정에서 남북간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한 논의도 이뤄져 귀추가 주목된다.

일부 인원 체류연장이 북측의 미수금 처리 요구에 따른 것이지만, 우리는 이번 협의과정에서 개성공단 정상화도 북측에 요구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이다.

해당 당국자는 "우리는 북측에 지급할 것은 지급한다. 하지만 우리도 요구할 것은 요구한다"며 "요구사항은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