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 제의응답 시한인 26일 오전이 지났다.

지금까지 북측은 우리 정부의 대화제의에 어떠한 반응도 내놓지 않아 결국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이 물건너갔다.

이에 따라 "북측이 거부할 시 중대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정부의 공언이 어떻게 행동으로 옮겨질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까지 정부는 '중대 조치'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피하고 있다.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의 반응에 따라서 여러 가지 상황이 있을 수 있고, 또 국내에서도 여러 해당되는 입주기업 분들 포함해서 여론에서도 여러 흐름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 가지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적절한 방안에 대해서는 그 시점을 보고, 또 상황이 적절한가를 보면서 우리가 적시적으로 적절하게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중대 조치'를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이례적으로 '중대 조치'를 언급했기에, 북측의 지난 8일 김양건 당 중앙위원회 대남담당 비서 담화와 비슷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북측은 △종업원 철수, △개성공업지구 존폐여부 검토 등의 중대조치를 강행했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 정부도 △우리측 근로자 철수, △송전 중단 등의 개성공단 폐쇄에 준하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이르면 이날 오후 청와대 외교안보장관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이 주관하는 가운데 열릴 회의에서는 정부의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 제의에 대한 북측의 무반응과 함께, '중대 조치'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