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닭의장풀. [사진 - 정관호]

                                                닭의장풀

                                         여름날 이른 아침
                                         이슬을 털며 풀밭을 가다 보면
                                         거기 말간 푸른색 꽃떨기

                                         비스듬히 누워서 얽히고
                                         조개입 같은 포에 감싸여
                                         나비 날개로 함초름 눈부시어라

                                         해가 솟으면 벌나비도 기다리지 않고
                                         수술이 말려 올라가서 스스로 가루받이

                                         역사를 마치면 고개를 떨어뜨리고
                                         진한 감색 물방울로 녹아내려
                                         바래지도 흩어지지도 않는 꽃이파리

                                         풀 마디 어디에 그런 야무짐이
                                         꽃 송이 어디에 그런 홀로섬이 
                                         깃들어 있는가 묻고 싶구나

                                         땡볕 아래 하늘만 우러르면
                                         메마른 땅으로 기를 쓰고 뻗으면
                                         저리도 되는갑다 올곧은 풀꽃이여.

▲ 닭의장풀, 꽃 생김새. [사진 - 정관호]

▲ 애기닭의장풀. [사진 - 정관호]

▲ 자주달개비.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흔하게 만나는 닭의장풀은 꽃잎이 닭볏을 닮았다고 해서 ‘닭개비(달개비)’ 또는 ‘닭의밑씻개’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친근한 풀꽃이다. 줄기 밑 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란다. 6~10월에 걸쳐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짙푸른 꽃이 피어난다. 꽃은 조개 모양의 포에 싸이는데, 꽃잎 두 장은 푸르고 하나는 투명한 막질이다. 스스로 가루받이를 하고 나서는 시들어버린다. 어린 순은 먹고 줄기는 약에 쓴다. 애기닭의장풀은 꽃잎 색깔이 아주 연해서 분홍에 가깝고, 자주달개비는 이름을 나눠가진 형제종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