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선포에 앞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이 확인된 국무위원 중 한명인 김영호 통일부장관이 10일 오후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호 장관은 10일 오후 2시 경 출입기자단에 문자메시지로 '입장문'을 발송해 이같이 말했다.
위헌·위법한 비상계엄 선포 후 국무회의 참석자들도 공모혐의로 수사대상이라는 여론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일주일만의 입장 표명이다.
앞서 지난 4일 오후 5시 20분 통일부 대변인실이 "통일부장관은 12.3일 밤 국무회의시 참석하였으며, 12.4일 새벽 국무회의는 참석하지 못하였음"이라는 한줄짜리 프레스가이드(Press Guide)를 내놓은 바 있다.
김 장관은 이날 입장문에서 "대한민국이 처한 작금의 상황에 대해 통일부장관으로서, 국무 위원의 한 사람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참담한 마음으로 국민들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남북관계 상황이 엄중하고 대외 정세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중차대한 시점에서 경각심을 갖고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이 직을 수행하는 마지막 날까지 맡겨진 소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국민들께서 불안해하지 않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하는 가운데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뒤늦게 나온 이같은 입장 표명이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지적이 나온다.
김 장관은 12.3 국무회의에 참석해 비상계엄에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또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 등에 관한 판단이나 구체적 언급이 있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특히 비상계엄을 위한 일련의 시나리오 중 하나로 지난 10월 평양 중구역 상공에 무인기를 침투시켜 오물풍선 원점 타격을 시도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난 상황에서 남북관계 주무 부처 장관인 그가 어떤 정책 판단을 했는지는 매우 중대한 사안임에도 여전히 입을 다물고 있다.
내·외부 일정도 줄줄이 취소하고 있다.
야당은 윤석열의 계엄선포를 저지하지 못한 국무회의 참석 국무위원들의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고 야권과 시민단체들은 12.3 당시 국무회의 회의록과 속기록 등에 대한 은폐없는 상세공개를 촉구하고 있다.
속속 밝혀지는 사실들은, 국무총리를 비롯한 12.3 국무회의 참석 국무위원들은 최소한 내란죄 공모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수사대상이라고 가리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