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공동선언 7돌 기념 민족통일대축전(6.14-17, 평양)' 행사에 당국 대표단 참가가 결국 무산됐다.

11일 오후 통일부 당국자는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실적.물리적 상황을 고려하여 이번 공동행사에 당국은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실적.물리적 상황'이란 행사 주관자인 북측으로부터 이날까지 초청장이 오지 않았고, 당국 대표단 참여와 관련된 남북 간 협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늘 시험통화는 마감됐다"면서 "내일부터는 (설사 초청장이 와도) 물리적으로 (준비가) 어렵다.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지금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이어서 밝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이(당국 대표단 참가)와 관련된 접촉을 시도한 바도 없"으며 "(불참 결정을) 북에 통보할 문제도 아니"라며, "이로 인해 남북관계에 큰 영향이 있을 것이라 보기도 어렵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21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남북은 6.15공동선언에 대한 양측의 확고한 이행의지를 재확인했으며 현재 (당국간) 회담과 협력사업이 합의된 일정에 따라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이번 문제가 남북관계 정상적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곁들였다.

나아가 "당국 참여여부와 무관하게 정부로서는 공동행사에 참가하는 민간대표단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통해 행사가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적극 지원하고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원'의 내용으로는 "민간대표단에 정부 지원인원이 참여하는 것"과 "(남북협력)기금 지원"을 적시했다.

정부가 이같이 불참 입장을 예상보다 일찍 확정해 언론에 발표한 것은 실무적으로 시간상 더 이상 기다리기 어려운 점도 있지만 어차피 참석이 어려울 바에야 끝까지 기다리며 매달리는 모습을 보이기 보다는 미련없이 불참을 선택한다는 뜻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BDA 문제나 2.13합의 이행이 아직 오리무중인 상황에서 민간이 주최하는 행사에 당국대표단이 참석해 민족공조나 자주의 목소리가 높은 행사장에서 곤혹스러운 입장에 처하느니 북측이 초청하지 않은 것이 오히려 남측 당국을 배려한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북측은 지금까지 6.15공동행사에 남측 당국 대표단을 초청할 지에 대해 특별한 입장을 밝힌 것이 없지만 지난 8일 개성 영통사 성지순례에 참석한 정덕기 6.15공동선언실천북측위원회 부위원장은 본사 기자에게 "아마 남측 당국에서 참가하겠다고 말을 하기도 힘들 것이고, 응해주는 것도 우리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마주 앉아야 해결될 것이 없다"고 부정적 견해를 밝힌 바 있다.

당국 대표단의 민간 공동행사 참여는 2005년 평양 6.15대축전이 처음이다. 당시 정동영 통일부 장관 등이 참가, 김정일 위원장과 이른바 '6.17합의'를 도출했으며, 이어 서울에서 개최된 8.15민족대축전에는 김기남 노동당 비서가 이끄는 북측 당국 대표단이 참가, 국립현충원을 참배하기도 했다.

2006년 광주에서 열린 6.15대축전에는 최고인민회의 부위원장인 김영대 민족화해협의회 회장을 단장으로 한 북측 당국 대표단이 참석해 5.18국립묘역을 참배하기도 했다. 지난해 8.15공동행사는 북측지역의 수해로 인해 무산됐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