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암 나철 100주기 연재에 부쳐

홍암 나철과 대종교, 항일무장투쟁 외에 우리 사회에 그다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인물과 민족종교지만 우리가 결코 지나칠 수 없는 큰 인물과 중요한 종교다.

국조 단군과 국시 홍익인간, 국기 단기, 국전 개천절을 재정립한 홍암 나철과 대종교는 우리의 미래를 가리키는 나침판과도 같다. 서일, 김좌진의 청산리대첩을 비롯한 항일무장세력의 본거지로 10만의 순교자를 낸 것은 물론 주시경, 이극로, 신채호, 박은식 등 국어와 국사 운동의 출발도 홍암 나철과 대종교를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일제에 국권을 빼앗긴 과정에서 국망도존(國亡道存, 나라는 망해도 정신은 살아있다) 기치 아래 외교, 테러, 교육, 종교, 무장투쟁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싸웠고, 마침내 하나뿐인 자신의 목숨을 스스로 내놓았다.

1916년 추석인 음력 8월 대보름, 홍암 나철이 황해도 구월산 삼성사에서 순교한 지 100주기, 독립운동의 아버지이자 국학의 스승, 민족종교의 중흥자인 그의 발자취를 따라 벌교에서 서울, 도쿄를 거쳐 화룡, 영안, 밀산 등을 순례했다.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군국주의화, 미국의 노골적 패권 재구축이 맞부딪치고 있는 격변의 시기에 홍암 나철의 삶과 죽음을 재조명할 이유는 충분하다. 더군다나 서구식 사고방식과 생활문화에 완전히 빠져있는 우리의 현실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구월산 삼성사에서 이 순례를 마무리할 수 있길 바란다. 아울러 이번 기획취재에 도움을 주신 국내외의 많은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 /필자 주

<연재 기사>

“아비를 만나랴거든 공부를 통하야 한울길로 오라”
<홍암 나철 100주기 ①> 도제사언문을 찾아서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날지만 몸통이 중요하다”
<홍암 나철 100주기 ②> [인터뷰] 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위원

“제일 위대한, 제일 억울하게 묻혀 있는 인물”
<홍암 나철 100주기 ③> 기념관 준공 서두르는 벌교 생가

일본 황궁 앞에서 단식투쟁 벌인 조선 선비
<홍암 나철 100주기 ④> 일사와 도동기를 찾아서


“700년간 닫힌 신교의 교문이 다시 열리어”
<홍암 나철 100주기 ⑤> 을사5적 처단투쟁과 단군교 중광

“내가 신의가 없었는지 다시 한번 돌아보자”
<홍암나철 100주기⑥> [인터뷰] 최윤수 대종교 삼일원 원장

"천하에 독립한 제일 큰 산은 오직 한 백두산이시니"
<홍암나철 100주기⑦> 만주로 망명한 대종교 총본사

홍암의 후예들, 청산리서 승전고 울리다
<홍암나철 100주기⑧> 당벽진과 액하감옥의 비극

“후대인들이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한다”
<홍암 나철 100주기⑨> [인터뷰] 맹고군 중국 밀산시 전 부시장

10만의 순교로 되살아난 민족의 영웅
<홍암 나철 100주기⑩> 끝나지 않은 이야기들

 

 

▲ 서울 홍제동에 자리잡은 대종교총본사 전경. 우측이 경일 경배를 드리는 천궁이고 좌측이 종무실이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홍암 나철 100주기 기획기사를 연재하면서 “그렇게 훌륭한 인물이 왜 거의 안 알려졌느냐”는 질문을 자주 받곤 한다. “대종교 때문”이라는 답 아닌 답을 내놓으면 다들 “글쎄 대종교는 처음 들어보는데 뭔가 이상한 종교 같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베드로, 야고보, 마태, 도마, 유다 등 예수의 열두 제자 이름을 들어보거나 알고 있는 사람들은 많지만 홍암 나철, 백포 서일, 무원 김교헌, 단애 윤세복 등 대종교 종사들의 이름을 아는 사람은 눈씻고 찾을래야 찾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직장 사직하고 삼법수행에 몰입한 물리학도

▲ 홍암 나철 순교 100주기를 맞아 최윤수 대종교 삼일원 원장과 7월 21일 대종교총본사에서 인터뷰를 가졌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최윤수(59) 대종교 삼일원장은 지난달 21일 서울 홍제동 소재 대종교총본사에서 <통일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홍암 나철 대종사 서거 100주기를 맞으며, 위대한 업적과 순교까지 하셨는데 우리 후손들이 유지를 받들지를 못해서 이렇게 종단 자체도 미약해져서 대단히 죄송스러운 마음”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대종교(大倧敎)는 모든 교정을 통솔하는 최고기관인 대일각과 교육.선도기관인 삼일원, 행정기관인 종무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총전교(홍수철)와 삼일원장(최윤수), 종무원장(김영두)이 이를 이끌고 있다.

최윤수 삼일원장이 대종교와 인연을 맺은 것은 소설 『丹』의 주인공 봉우 권태훈 옹이 대종교 총전교를 맡고 있을 때다. “1985년에 단 소설책을 읽고 출판사에 전화해서 권태훈 총전교님을 소개받고 왔다”는 것.

카이스트에서 물리학 석사를 받고 회사를 다니던 그는 2년 정도 대종교 청년회에서 활동한 후 수행에 전념하기 위해 다니던 직장을 사직했다. “문경에 있는 시교당에 가서 4개월 살았다. 거기 인도를 받아서 21일 기도하고 그 다음에 계속 삼법수행을 했다.”

평범한 직장인에서 대종교 삼법수행 수행자로 인생 역전이 일어난 셈이다. 그는 이후 포항공대에 진학해 박사를 받고 다시 직장 생활로 복귀해 생업과 수행을 병행하고 있다.

삼법수행(三法修行)이란 지감(止感), 조식(調息), 금촉(禁觸)이라는 대종교 수행법이다. 지감법에서 불교의 명심견성(明心見性)하는 참선법(參禪法)이, 조식법에서 도교의 양기연성(養氣煉性)의 도인법이, 금촉법에서 유교의 수신솔성(修身率性)하는 극기수양법(克己修養法)이 유래했다는 것이 대종교의 입장이다.

최윤수 삼일원장은 자신의 수행과정에 대해 “단애 윤세복 종사의 「삼법회통」과 단암 이용태 도형의 「수진비록」을 지침서로 했다”며 특히 “금촉법은 독법인데, 독경을 하면서 여섯 감각을 제어, 절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좋은 경전을 읽으면 세포들을 울려서 좋은 영향 주고, 어려운 경전을 외워놓으면 필요할 때 말들이 생각난다”면서 “지금 제도권 교육은 독경을 안 하기 때문에 중요성을 잘 모르는데, 경전을 자꾸 외우다 보면 재미있어지고 친구같아지고 그렇다”고 각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민족의 경전,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

▲ 8월 7일 대종교총본사 천궁에서 열린 경일 경배식에서 ‘한얼말씀’(강도 講道)을 전하고 있는 최윤수 삼일원 원장.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대종교 3대 경전은 천부경(天符經)과 삼일신고(三一神誥), 참전계경(參佺戒經)이다. 그는 천부경에 대해 “경전으로는 편입이 안 됐지만 대종교인 사이에서 천부경을 많이 외웠다”며 “해석이 어려워 안 넣었다가 1975년에 경전에 편입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대종교 입장은 고유의 도를 정통으로 이어받았으니까 우리 겨레얼 경전들은 대종교 경전으로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삼일신고에 대해서는 “책이름이 삼일신에 대한 알림”이라며 “진리의 말씀이기도 하고 창세기라고 보아도 된다”고 정의했다. 조화(造化), 교화(敎化), 치화(治化)의 3대 권능을 두루 갖춘 삼신일체(三神一體) 한얼님에 관한 경전이라는 설명이다.

삼일신고 ‘진리훈’에는 사람들은 세 가지 참함(三眞), 즉 성품(性)과 목숨(命)과 정기(精)를 한얼님으로부터 점지 받는다고 나온다. 또 사람은 태어나면서 세 가달(三妄), 즉 마음(心)·기운(氣)·몸(身)에 끌리어 선악(善惡)·청탁(淸濁)·후박(厚薄)함이 생겨난다. 결국 이 세 가달을 세 참함으로 돌이키면 참사람이 되고(返妄卽眞), 다시 참함을 위로 돌이키면 한얼님과 같이한다(返眞一神, 神人合一)는 것이다.

<대종교의 경전>

대종교의 경전은 신전과 보전, 보감으로 나뉘어 있고, 가장 기본인 3대 신전은 천부경과 삼일신고, 참전계경이다. 7대 보전은 신리대전, 신사기, 회삼경, 진리도설, 구변도설, 삼일문답, 삼법회통이다. 그러나 구변도설은 서문과 발문만 전해졌고, 삼문일답은 서언만 남아있는 상태다.

보감 중 백두산 백봉신사 집단이 1904년 개천절에 발표한 것으로 알려진 단군교포명서와 오대종지서는 대종교를 이해하는 필수 경전에 속한다.

홍암이 1909년 12월에 다시 발포한 단군교 5대 종지(宗旨)는 △공경으로 한얼을 받들 것(경봉천신 敬奉天神) △정성으로 성품을 닦을 것(성수영성 誠修靈性) △사랑으로 겨레를 합할 것(애합종족 愛合種族) △고요함으로 행복을 찾을 것(정구리복 靜求利福) △부지런히 살림에 힘쓸 것(근무산업 勤務産業)이다.

<도표> 대종교 경전의 분류

분류

경전명

종경수록

설명

신전

천부경

    조화 경전. 81자로 구성.

삼일신고

    교화 경전. 원문 366자로 구성.

참전계경

    치화 경전. 366조로 구성.

보전

신리대전

    홍암대종사 저술, 대종교 신관 이해에 필독.

신사기

    전래 경전, 삼신의 역사가 간결하게 기록.

회삼경

    백포종사의 저술.

진리도설

    백포종사의 저술.

구변도설

    백포종사의 저술.(서문과 발문만 전함)

삼문일답

    백포종사의 저술.(서언만 전함)

삼법회통

    단애종사의 수행서.

보감

종사

단조사고

×

    대종교 협제회 간행.

신단실기

×

    무원종사의 역사 저술.

신단민사

×

    무원종사의 역사 저술.

배달족역사

×

    무원종사의 역사 저술.

배달족강역형세도

×

    원대 이원태의 역사 저술.

종리

대종교신리

×

    고경각 간행.

종지강연

×

    백포종사의 저술.

종리문답

×

    호석 강우의 문답식 교리 해설.

신형유훈

    홍암대종사 유서.

한얼노래

    대종교 예식 노래.(이극로 편저)

기타

단군교포명서

×

    백봉신사가 반포한 문건.

오대종지서

×

    백봉신사가 반포한 문건.(홍암대종사가 수정 반포)

(자료 - 대종교 자료를 보완)

 

▲ 최윤수 삼일원장은 대종교의 삼법수행은 꿇어앉는 궤자가 아닌 정좌법을 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대종교의 삼법수행에 대해 최윤수 삼일원장은 “수련자세는 가부좌인 정좌(正坐)”라며 최근 중국 홍산문화 지역에서 발견된 흙으로 빚은 신상도 가부좌 자세임을 예시했지만 삼법수행이 높은 경지에 올라 성통공완(性通功完)에 이른 경우가 없어 사실상 맥이 끊긴 상황이다. 최 원장도 호흡법인 조식법은 아예 포기했다고.

한편, 고구려 개국공신인 마의극재사가 저술한 「삼일신고 독법」에는 “향불을 피우고 단정히 꿇어 앉아 한얼님께 묵도하고...”라고 돼 있어 무릎 꿇고 앉는 자세인 ‘염슬궤좌’(歛膝跪坐) 즉 궤좌가 대종교의 정통 수행자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일단은 수행을 하기 위해서 무념무상 상태가 돼야 성품을 바라보는 기본이 된다”며 “가장 빠른 법은 지감법을 통해 무념무상으로 성품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전을 읽다가 한 구절에서 크게 깨우치는” 경험도 했다.

“하느님의 이치로 세상을 창조하셨으니까 물리도 하느님이 만드신 이치 중의 하나”라며 “물리를 열심히 연구하면 하늘 이치의 일부를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지난 8월 7일 서울 홍제동 대종교총본사 경일(敬日, 일요일) 경배식 ‘한얼말씀’(강도 講道)에서 “크게는 별이나 지구, 태양들이 순환하고 있고, 작게는 원자 내에 전자도 돌고 양성자도 순환하기 때문에 만물이 존재할 수가 있다”며 “하늘이치를 따라 어김없이 지켜서 신의가 있다는 것은 집착이나 욕심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니 경전에서 말하는 밝은이의 모습”이라고 설했다.

또한 “빤히 보이는 이치도 어떤 때는 거부되고 부정되는 것이 사람 사회이다. 권세에 눌려 진실을 제대로 말하지 못하고 말해도 통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하늘이치를 거스르는 것은 하느님을 거스르는 것이고 잘못을 행하는 것이며 삶이 올바르지 않게 된다”고 짚었다. 대종교의 사회참여는 하늘이치를 구현하기 위해 필수임을 알 수 있다.

4종사와 4대 경절, 유일한 대종사 홍암 나철 신형

그는 순교 100주기를 맞은 홍암 나철에 대해 “한 분 뿐인 대종사(大宗師)”라며 “교주라고 하지는 않지만 우리가 가장 높이 모시는 분”이라고 소개했다. 실제로 대종교 4대 경절(慶節)을 보아도 홍암의 위상을 실감할 수 있다.

홍암 나철이 대종교를 다시 일으킨 중광절(重光節, 음력 1월 15일), 그리고 단군이 아사달에서 승천한 어천절(御天節, 음력 3월 15일), 홍암 나철이 삼성사에서 순명한 가경절(嘉慶節, 음력 8월 15일), 홍암 나철이 다시 살려낸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개천절(開天節, 음력 10월 3일)이 바로 4대 경절이다.

그는 “대종교에서는 개천절과 어천절은 강화도 마니산에 가서 천제를 지내고, 중광절과 가경절은 각 교당에서 선의식(襢儀式)을 드린다”고 설명했다.

▲ 대종교총본사 천궁 전면 좌측에 모셔져 있는 4종사 영정 사진. 왼쪽부터 백포 서일, 홍암 나철, 무원 김교헌, 단애 윤세복. 유일한 대종사인 홍암 나철의 영정이 더 크게 꾸며져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대종교에서는 교주에 해당하는 도사교(都司敎)인 홍암 나철에 대해서만 대종사이자 신형(神兄)이라 부르고, 2대 도사교인 무원 김교헌(대종교명 김헌)과 3대 도사교인 단애 윤세복, 북로군정서 총재 백포 서일을 종사(宗師)이자 철형(哲兄)이라 부른다. 이후 도사교 직책은 총전교(總典敎)로 바뀌고 교호도 종사 대신 도형(道兄)으로 바뀌었다.

교인의 교력을 나타내는 교질(敎秩)은 ‘사교(司敎) > 정교(正敎) > 상교(尙敎) > 지교(知敎) > 참교(參敎)’ 순이다.

<역대 도사교>

대수

교질

존함

교호/품계

승임일자

1

사교

홍암

나  철

신형/대종사

   개천4366(1909)1.15

2

사교

무원

김  헌

철형/종사

   개천4373(1916)9.1

3

사교

단애

윤세복

철형/종사

   개천4381(1924)1.22

*백포 서일 철형(북로군정서 총재)은 서기 1919년에 무원종사께서 도통을 전수하려 했으나 사양하심. (자료 - 대종교)

홍암 나철, 백포 서일, 무원 김교헌, 단애 윤세복 4종사가 만주 독립운동을 이끌며 30만 교세를 자랑하던 대종교가 홍암 100주기를 맞은 오늘날 이처럼 교세가 위축된 데는 역사적 연원이 있게 마련.

최윤수 삼일원장은 “홍암 대종사께서 봉교방법을 바꿔 소제, 중제를 폐지하고 오직 개천절 대제만 남기고 매주 일요일을 경일로 부르고 경배식을 거행해 제(祭)가 아닌 강도(講道)를 시작했다”며 “첫 해 총본사 교인수는 한 천명 정도 됐고, 이듬해에 경술국치가 나고 지방, 서울 할 것 없이 대폭 교인수가 늘어 2만명이 넘었고, 나중에는 3,40만까지 된다”고 말했다.

특히 1914년 5월 총본사를 중국 화룡현 청호촌으로 옮기고 만주지역에 동도본사(책임자 서일), 북도본사(이상설), 서도본사(신규식.이동녕)를 설치하고, 한반도에 남도본사(강우)를 둬 홍암 나철이 순교할 1916년 당시에는 30만 교인을 헤아렸다.

그는 “남도본사 활동도 1920년대까지는 활발했었다”며 “최남선이나 동아일보 초대주필 유근이 대종교 교인이었고, 다음 주필인 송진우도 대종교 교인이었다”며 “동아일보에 특히 기사가 많이 실렸다”고 전했다.

30만 대종교인은 옛말, “교세 미약해져”

▲ 최윤수 삼일원 원장은 종교적 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그러나 1930년대부터는 민족주의 계열 보다는 공산주의 계열의 활동이 주류를 이루게 되고 결정적으로 1942년 일제가 대종교 간부들을 일망타진한 ‘임오교변’을 겪으면서 궤멸적 상태에 처하게 됐다.

그는 “해방 직후부터 대종교인들이 정부 고관으로 많이 활동했는데 김구 선생이 암살되고 미국이 물량공세로 기독교를 지원해줘서 이시영 부통령도 그만두고 차츰 정부에서부터 멀어진다”며 “6.25 전쟁 때 대종교는 독립운동을 많이 했기 때문에 인민군들이 잘 해줬지만 다시 북으로 밀려 대종교가 더 어렵게 됐다”고 당시를 설명했다. 한국전쟁 당시 홍명희 등 대종교 인사들 상당수는 월북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쪽 상황 역시 마찬가지다. “김일성 주석이 김두봉 선생을 스승으로 모시고 주체사상을 만드는 데도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들었다”면서 “대종교에 호감은 있지만 종교가 허용되지 않아 교당이 없다”고 전했다.

그는 “대종교를 찾아오는 많은 분들이 종교적 이유보다는 독립운동, 한글운동, 역사바로잡기 그런 걸로 찾아온다”며 “교세가 미약해져 실제로 교당에 나오는 교인은 적은 편”이라고 말했다. 교당은 수도원까지 합쳐 20개고, 실제 교인수는 ‘몇 천명 수준’이라는 것.

홍암 나철 대종사 100주기를 맞아 황해도 구월산 삼성사에서 추모행사를 가질 의향을 묻는 질문에 그는 “이전에 안호상 박사님이 정부 승인없이 그렇게 (북으로)갔다”며 “그래서 그 뒤로 많이 안 좋았다”고 정부 허가 없이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대종교는 성직자 위주 시스템이 아니다”며 “성직자가 일찍부터 전임을 해서 수행도 하고 경전공부도 해야 성통공완하든지 하는데 종교적 공부가 부족한 실정이다”고 진단했다.

또한 “홍암 대종사에 대한 종교적인 연구가 미흡하다”며 “홍암 대종사께서는 하느님 신앙을 정통으로 이어받으신 분이고, 우리 전통 도, 신라시대 최치원이 말한 우리나라 ‘현묘한 도’(玄妙之道), 거기서부터 출발한 도를 이어받았다”고 강조했다. “어렸을 때는 유학을 배웠지만 백봉의 하느님 신앙을 이어받고 중광 이후는 순교할 때까지 도와 하느님만 찾다 가신 분”이라는 것.

▲ 대종교총본사에서 내려다본 전경. 맞은편 인왕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그는 한얼말씀(강도)을 “형제자매들, 우리가 사는 일에 바쁘더라도 꼭 때때로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순환하는 해와 달, 별들을 보고 한얼님의 위대한 능력을 되새기고 한얼님의 신의를 다시 한번 생각하면서 내가 신의가 없었는지 다시 한번 돌아보자. 그리고 물질세계는 순환하지만 우리의 정신은 무한하게 성장해서 우주와 하나가 되고 하느님과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길 바란다”로 마쳤다.

(수정2, 20:26)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