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성 / 우리사회연구소 객원연구원

 

[연재를 시작하며]

주한미군으로의 탄저균 반입이 뜨거운 논란이다. 전쟁의 목적은 승리이고 이를 위한 수단에는 제한이 없다고 했던가. 하지만 군사적 목적을 위해 인간에게 치명적인 세균을 사용한다는 것은 너무나 잔인한 발상이다.

세균무기는 오늘날 “가난한 나라의 핵무기”라고 불리고 있지만, 원래는 제국주의 침략세력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이번에 벌어진 주한미군 탄저균 논란도 미국이 어떠한 입장과 목적에서 살아있는 탄저균을 이 땅에 반입하였는지 철저히 규명해야 할 것이다.

탄저균 반입 사건의 중요성과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기 위해 <세균전의 나라 미국>이라는 연재를 준비하였다. / 필자 주

<차례>

1. 전염병과 전쟁
2. 731부대장 이시이가 미국으로 간 이유
3. 최초로 폭로된 세균전, 한국전쟁
4. 한국을 생물학전 실험장으로 만든 주피터 프로그램
5. 매년 900kg의 탄저균을 생산했던 미국
6. 방어용인가? 공격용인가? 우려되는 탄저균 무기개발
7. 진화하는 세균전
8. 불안한 한국사회
9. 대안은 무엇인가?

 

서울대 수의학과 우희종 교수는 최근 주권방송과 인터뷰에서 오산미군기지에 살아 있는 탄저균이 배송된 사건에 대해 "살아있는 균은 전적으로 무기 개발에 활용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희종 교수는 "요즘은 DNA백신이라고 해서 유전자 정보만으로 첨단기술을 이용해 백신을 만든다. ‘방어용이다 대책용이다’라고 말하지만 무기개발용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희종 교수는 탄저균 실험실에 대해 "은유적으로 말하면 핵실험 시설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생물무기가 우리나라에 마음대로 들어오고 연구시설이 있고 실험이 된다는 것은 여기 핵실험을 하고 있는 것과 똑같은 것이다“고 경고했다. 즉 핵폭탄 시설을 도시 한복판에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된다는 것이다.

심각한 주피터 프로그램의 진행 양상

이러한 위험성에도 국방부와 주한미군은 탄저균 실험이 방어용이기 때문에 규정만 지켜서 진행한다면 무방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하지만 주한미군의 주피터 프로그램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상당히 심각한 연구 계획을 가지고 있다.

2013년부터 본격화된 한반도 생화학전 대비 주피터 프로그램은 전투현장에서 탄저균과 같은 생물작용제를 인지하고 탐지하는 생물무기감시체제이다. 문제는 방어든 공격이든 상관없이 생물작용제가 한국 땅에 뿌려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더욱 심각한 지점은 주한미군기지 내 실험실은 사막 한가운데 있는 미국 더그웨이 연구소와 달리 주택가에 있다는 것이다.

김형성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은 평택 오산공군기지에서 실제 야외 세균 실험(그리드 테스트)이 진행된 것이 아닌지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원래 주피터 프로그램의 일정대로였다면 2015년 5월 혹은 6월에는 야외 세균 실험이 예정되어 있었다고 한다.

▲ 미국 더그웨이 연구소는 사막 한가운데 있는데 비해 주한미군기지 내 실험실은 우리나라 주택가에 있다.

그가 기고한 글에 따르면 2015년 4월 16일 미 육군 공보는 "최근 더그웨이 거대 야외 테스트 그리드 중 한곳에 한국 훈련장과 동일하게 배치된 주피터 센서들에 대해 생물작용제와 동일한 특성을 가진 양성 세균(benign microbes)을 다양한 시나리오로 살포하는 생물 무기 공격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이를 전자 기록에 담아두었다. 이것은 한국의 시연회(operation demonstraton)에서 재현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또 예정대로 시연회가 마쳤다면 이 장비들은 올해 여름 다시 더그웨이로 옮겨져 "최근에 완성된 대규모 생균 실험실(WSLAT : Whole System Live Agent Test)에서…이 장비들이 생물 안전 3등급 시료(살아있는 탄저균과 같은 병원성 세균)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테스트할 예정"이었다고 밝혔다.

만약 미국에서 탄저균 오배송이 발각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위에서 언급한 시나리오라면 1차로 미국 더그웨이에서 사전에 탄저균과 비슷한 양성 세균을 이용한 야외 살포 실험을 하고, 2차로 한국 오산기지 현지에서 직접 비활성 탄저균(혹은 양성세균) 야외 살포 실험을 하고, 3차로 그 자료를 가지고 다시 미국 더그웨이에서 살아있는 탄저균으로 새로운 장비 실험을 한다는 이야기다. 끔찍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미국 국방부는 자체 탄저균 오배송 감사 결과에서 미국 내 85개소, 해외 6개 국가에 탄저균이 오배송 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로 탄저균에 노출된 전 세계 피해자는 31명이며, 그 중 주한 미군에서만 22명이 노출되었다. 그런데 전 세계 31명 중 한국에서만 유독 22명이 노출된 이유는 무엇일까. 주한미군의 '실험실에 대한 2단계 제독 시행 및 공기 포집 시험'이 야외 탄저균 살포 실험일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자기 발등을 찍은 미국의 탄저균 무기 개발

세균 무기용으로 개발된 탄저균에 일반인이 노출된 사고는 2001년 9.11 테러 직후 미국에서 일어난 바 있다. 당시 미 의회 건물과 주요 언론사 등에 탄저균이 묻은 우편물이 속속 도착했고 모두 5명의 사망자와 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생물무기 전문가인 미국과학자연맹 바버라 해치 로젠버그 박사는 2011년 제네바에서 열린 생물무기금지협약 5차 평가회의에서 미국의 우편물 탄저균의 출처가 미국의 생물무기 프로그램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주장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우편물 테러에 사용된 탄저균은 모두 포트디트릭의 미육군의학연구 및 물자사령부에서 통제하는 에임즈(Ames) 계열 탄저균과 일치했다. 둘째, 탄저균을 효과적으로 무기화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데 우편물 테러에 사용된 탄저균의 무기화 기술은 미국만의 비법과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 탄저균은 고농축성으로 g당 1조개의 포자를 포함하고 있다든가 지름이 1.5~3 마이크론으로 미세한 것 등은 미국이 개발한 고순도 탄저균의 특징이었다. 셋째, 이 탄저균에는 이라크의 탄저균에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미국에서만 사용되는 특수한 이산화규소, 실리카가 포함되어 있었다.

미국이 스스로 개발한 탄저균 무기가 자국 내의 테러로 활용된 셈이다. 위 사건은 용의자가 자살하면서 완전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사건 조사과정에서 미국이 계속해서 탄저균 무기를 만들고 있었다는 정황은 드러나게 됐다. 서재정 전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2001년 <통일뉴스> 기고글에서 미국은 최근까지 생명과학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치명적인 계열의 탄저균을 생산하는 작업과 세균을 퍼뜨리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폭발물 등을 개발해왔다고 밝혔다.

잘 죽지 않는 치명적인 탄저균의 특징

그렇다면 탄저균은 왜 이렇게 치명적인 생물무기로 활용되는 것일까? 그 이유는 탄저균이 가지는 생리학, 병리학적 특징 때문이다.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은 탄저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으로 탄저병이 발생한 지역의 땅 속에서 발견되는 세균이다. 탄저균은 그람 양성, 포자 형성, 캡슐화 세균이다. 현미경으로 보면 폭 1-1.2μm, 길이 3-5μm으로 체인구조로 나타난다. 탄저균이 무서운 이유는 탄저균은 배양이 쉽고, 공기 중에 분산과 확산이 용이하며, 가혹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탄저균은 포자와 영양세포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감염된다. 포자는 탄저균이 가혹 조건(흙이나 공기 중)에서 형성하는 세포 바깥의 껍질이나 균체다. 탄저균을 흡입하면 폐포(pulmonary alveoli)에 존재하는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가 탄저균의 포자를 잡아먹는다. 그러나 포자는 대식세포의 공격에도 죽지 않고, 대식세포 내에서 발아(germination)하면서 탄저균이 온 몸으로 퍼지게 된다.

▲ 탄저균이 가지는 생리학, 병리학적 특징 때문에 탄저균은 치명적인 생물무기로 활용된다. 

모세포(영양세포)인 탄저균은 캡슐 형태로 존재하며, 그 캡슐 자체는 비독성이다. 따라서 감염자의 면역 시스템을 자극하지 않고, 백혈구와 같은 자가 면역작용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다. 대신 탄저균으로부터 생성되는 치명적인 독성물질(lethal toxin)이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 세포를 방해 및 파괴한다. 따라서 일단 탄저균에 노출되면 엄청난 양의 항생제를 투여해야한다. 오산미군기지에서 노출된 22명에게도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인 시프로플록사신을 투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탄저병의 병리는 피부감염(피부의 상처), 소화기 감염(오염물 섭취), 호흡기 감염(포자의 흡입) 으로 나눌 수 있다. 피부탄저병에 걸리면 피부가 함몰 괴사되다가 부종으로 둘러싸인 검은 피부로 변한다. 위장관탄저병은 탄저균 포자에 오염된 고기를 먹고 발생한다. 폐탄저병은 포자의 흡입으로 발생한다. 폐 탄저병은 가장 심각하며 역사적 사망률은 92%에 달한다.

또한 탄저균은 가열, 일광, 화학소독 등에 강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모세포(영양세포)인 탄저균은 열이나 자외선, 건조, 약품 등에 약한 반면에, 포자는 높은 온도, PH(수소이온농도수치), UV(자외선) 및 영양소 결핍 등 가혹한 환경에 내성이 있다. 탄저균은 포자의 형태로 흙속에서 100년 가까이 생존할 수 있다.

탄저균에 오염된 것은 모두 감마선으로 철저히 소독하든지 완전 소각해야한다. 감마선은 과거에 오염된 수입양털을 처리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2001년 미국에서는 우편물 탄저균 테러가 발생한 이후, 우편물에 대한 감마선 오염처리가 의무화 되었다.

USA TODAY는 2001년 탄저균 우편물 테러 용의자, 미국 생물무기연구소 메릴랜드 포트 디트릭의 감염병 연구소의 수석 세균 학자 아이빈스가 ‘기준치인 2메가 감마선으로 살균한 후에도 살아남은 탄저균이 있으며, 총 6메가의 추가 방사선을 처리해도 또 살아있는 탄저균’이 계속 나타난다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탄저균의 위험성에 대해 보도하기도 했다.

계속 방어용이라고 강변하는 한미당국

이 위험한 탄저균 샘플이 4월 25일 더그웨이 연구소에서 발송되어 4월 29일 포자형태의 액체상태(1m)로 3중포장한 후, 냉동처리 해 페덱스 택배로 오산미군기지에 배송됐다. 탄저균 샘플은 BSL-2급 실험실냉동고에 보관됐다가, 5월 21일 BSL-2급 시설 내 생물안전작업대(BSC)를 이용해 최초 해동, 유전자진단장비 PCR 전처리 작업을 진행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군 측에서는 사균임을 알고서 유전자진단장비 PCR 약품 처리를 하고 유전자를 추출하는 작업까지 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는 5월 27일 탄저균이 살아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주한미군에 폐기통보를 지시했다. 주한미군은 탄저균 샘플을 폐기하고, 노출된 22명 중 15명에게 백신, 항생제 치료를 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한민구 국방장관은 살아있는 탄저균 샘플을 두고 “방어를 위한 실험용 탄저균 샘플이라는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며 별 문제가 아니라는 듯 미국을 두둔했다. 게다가 보건복지부는 ‘사균체는 고위험병원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주한미군은 탄저균 사균을 국내에 반입하려 했으니 국내법 위반이 아니’라며 주한미군을 대변했다.

방어용 프레임은 조사단계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7월 12일 외교부는 ‘한미 생물방어 협력과 주한미군으로의 탄저균 샘플 배달사고 관련 사실관계 파악 및 대책 마련을 위한 한미 합동실무단(JWG : Joint Working Group) 구성’을 발표하였다. 한미당국은 합동실무단의 명칭에서 이 사건을 한미 간 생물방어협력으로 규정하고 방어훈련이었다는 의제를 선점했다. 또한 이는 한반도 생화학전 의혹 전체가 아닌 이번 생 탄저균 오배송 사건으로만 조사범위를 국한시키겠다는 의미이다. 결국 한미 합동실무단의 조사 결과는 이미 결론을 정해놓은 생색내기 조사가 될 것이 자명한 상황이다.

한미당국이 주장과는 달리 탄저균과 같은 생물무기는 방어용과 공격용을 구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다. 탄저균이 방어용으로 활용되려면 백신개발을 위한 실험 정도일 것이다. 생물무기금지협약(BWC)에서 생물무기 보유 자체를 금지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생화학무기는 방어용이 언제든지 공격용으로 바뀔 수 있다.

생물무기는 기술적으로 같은 속성을 지니기 때문에 방어용과 공격용을 나눌 수 없으며 둘 다 위험하기는 마찬가지이다. 특히 용도와 상관없이 탄저균과 같은 치명적 생물무기가 사고로라도 유출된다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어떤 군사적 명분으로도 탄저균은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주한미군이 진행한 탄저균 반입, 실험, 훈련에 대한 상세한 진상조사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