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풀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184)

2012-02-07     정관호

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오이풀. [사진 - 정관호]

                                                  오이풀 

                                       몸에서 나는 오이 냄새 때문에 
                                       그런 이름을 가지기는 했지만
                                       수하에 많은 떨거지를 거느린
                                       한 족속의 우두머리 풀

                                       뒤집히면 보송보송 하얀 이파리
                                       그렁저렁 소리없이 자라다가
                                       길다란 꽃줄기 끝에 매달린
                                       오디처럼 생긴 열매가 일렁이면
                                       하마 계절은 가을로 치닫는다

                                       이름을 나눠가진 오이풀 형제들
                                       이파리가 가늘어서 가는오이풀
                                       꽃차례가 길다고 긴오이풀 
                                       꽃송이가 커서인지 큰오이풀
                                       높은 산 정기를 머금어 산오이풀

                                       제각기 다르게 터를 잡고
                                       여러 모습으로 태어나 자라다가 
                                       더러는 밥상 먹을거리
                                       또 더러는 귀한 약재가 된다.

▲ 오이풀, 이파리. [사진 - 정관호]

▲ 가는오이풀. [사진 - 정관호]

▲ 긴오이풀. [사진 - 정관호]

▲ 산오이풀. [사진 - 정관호]

▲ 큰오이풀.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오이풀은 산지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이파리를 비비면 오이 냄새가 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을 가졌다. 키는 성인 가슴 높이 정도로 자라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이파리는 깃골이고 뒷면이 하얗다. 7~9월에 가지 끝에 술 모양의 꽃이 달리며 위에서 아래로 피어내린다. 뿌리줄기를 본초명으로 지유(地楡)라 하며 지혈 해독 등 약재로 쓴다. 이파리와 꽃이삭 모양이 조금씩 다른 형제종에 가는오이풀ㆍ긴오이풀ㆍ산오이풀ㆍ큰오이풀 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