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당귀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182)

2012-01-24     정관호

정관호(87)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참당귀. [사진 - 정관호]

                                                      참당귀

                                            대개 한약 화제의 앞머리는
                                            ‘當歸’ 두 글자로 시작되느니
                                            이 친구의 본초(本草) 이름이다

                                            풀이라고 하기에는 더럭 커서
                                            높이가 어른 키에 닿고
                                            같은 속(屬)의 다른 종과
                                            엇비슷 분간이 잘 안 된다

                                            다만 굵은 대궁과 꽃봉이
                                            짙은 자주색을 띠어서
                                            그것 하나로 눈대중은 된다

                                            가까이 가면 풍기는 향기
                                            겹우산꼴로 피는 꽃차례
                                            꽃철이 되면 몰려드는
                                            벌과 나비로 저자를 이룬다

                                            설악산에 처음 갔을 때
                                            능선 도중에서 팔던 당귀차
                                            향긋하던 기억 되살아나네

                                            어린 순은 데쳐서 먹고
                                            그 뿌리는 귀한 한약재
                                            사람도 벌도 짐승까지도
                                            다투어 좋아하는 풀 참당귀.

▲ 참당귀, 어린 잎. [사진 - 정관호]

▲ 참당귀, 꽃차례. [사진 - 정관호]

▲ 왜당귀(일당귀).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참당귀는 산에서 자생하지만 약초로 재배하기도 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가 높이 자라며 줄기는 어릴 때 푸르다가도 차츰 자주색을 띤다. 잎집(葉鞘)은 줄기를 둘러싸며 이파리는 깃골이다. 8~9월에 진자주색으로 피는 동그란 꽃은 아주 인상적이다. 온 몸에서 향기가 나며 그 뿌리가 피를 맑게 한다는 한약재 당귀(當歸)다. 형제종인 왜당귀(일당귀)도 비슷한 약효가 있어 널리 식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