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대북 수해지원 북 반응 없자 마무리
당국자 "관련 절차 종결..구호물자 전달 못해 아타까워"
2011-10-04 김치관 기자
통일부 관계자는 4일 오전 “9월 6일 북한에 수해와 관련해서 긴급구호 차원에서 수해지원을 통보한 바 있다”며 “한달 가까이 북한의 답변을 기다려 왔지만 아직까지 답이 없는 상황에서 계속해서 수해지원 상황을 끌고 가기가 조금 어려운 상황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오늘쯤 해서는 수해지원과 관련한 절차를 종결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어쨌든 결과적으로 이번 수해지원이 북한주민들에게 긴급구호 차원의 구호물자가 전달되지 못한데 대해서는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수해지원 절차 종결과 관련해 별도의 대북 통지는 하지 않기로 했으며, 내부적으로만 절차를 종결한다는 방침이다.
북측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 대해서는 “순수 인도적 지원이라고 여러 차례 말씀드렸다”며 “공식적으로 어떤 이유로 안 받는다고는 판단하지 않겠다”고 비켜갔다.
정부는 지난 8월 3일 한적을 통해 영유아용 영양식 140만개, 과자 30만개, 쵸코파이 192만개, 라면 160만개 등 50억원 상당의 대북 수해지원 물품을 전달하겠다고 발표했고, 이에 대해 북측은 식량과 시멘트 등 물자와 장비들을 ‘통크게’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정부는 기존 지원 품목과 금액을 고수해 결국 북측의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 당국자는 “1차분 지원물품 20만개 영유아용 영양식을 준비했지만 처리하는 방법은 한적과도 상의하고 관련절차나 규정이 있기 때문에 그런 걸 감안해서 검토할 생각”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북한 수해 지원물품 중 시멘트가 11.23 연평도 포격전으로 지원이 중단되자 공매절차를 거쳐 매각한 사례가 있지만 대한적십자사(한적)가 마련한 영유아용 영양식의 경우 유통기한이 있어 매각 절차를 밟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국자는 “별도 제작된 영유아용 영양식을 어떻게 처리할지 한적에 연락해보겠다”며 “가급적 이미 만들어진 제품이기 때문에 좋은 데 쓰이도록 하겠다”고 말해 국내 전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통일부는 지난 9월 6일 1차로 영유아용 영양식 20만개(25톤 트럭 11대 분량)를 9월 15일 경의선과 동해선을 통해 각각 전달하겠다고 적십자 통로를 통해 통보했지만 지금까지 북측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