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미꽃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145)

2011-05-10     정관호

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할미꽃, 새순. [사진 - 정관호]

                                                      할미꽃

                                       묏등 잔디밭에 가면 으레 있었던
                                       고개 숙인 털보숭이 할미 닮은 꽃
                                       드러누워 봄 햇살 맞바로 받으며
                                       하늘 우러러 눈이 부셨던 소년 시절

                                       그 꽃과 벗할 줄도 모르면서 
                                       그저 나른히 성장의 번뇌를 씹으며
                                       캄캄 나아갈 길이 보이지 않던
                                       그 암울한 일제 강점시대 사춘기

                                       젊어서도 할미꽃 우습고나야
                                       꼬부랑 할머니만 연상했던 그 노래
                                       어린것들을 가르치며 함께 어울려
                                       마냥 밝은 앞날만 보였던 성년 시절

                                       관심 밖에 밀려났던 긴 공백
                                       격랑이 해일처럼 밀려가고 밀려오고
                                       초목들은 변하지 않은듯 흐른 세월
                                       그 꽃떨기를 어루만지며 넘는 고갯길 

                                       어버이 한어버이들만 같던 꽃수염
                                       이제 너도 닮고 나도 닮아가면서
                                       네 일도 되고 내 일도 되는 저 모습
                                       하얀 잔털 볕에 반짝이는 들꽃이여!

▲ 할미꽃. [사진 - 정관호]

▲ 할미꽃, 꽃이 진 뒤. [사진 - 정관호]

▲ 세잎할미꽃. [사진 - 정관호]

▲ 가는잎할미꽃. [사진 - 정관호]

▲ 동강할미꽃. [사진 - 정관호]

▲ 분홍할미꽃. [사진 - 정관호]

도움말

할미꽃은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데 유별나게도 무덤가에 많이 난다. 결실기에 하얀 털로 덮여 백발을 연상케 하므로 그 이름을 얻었고, 그 때문에 따로 ‘백두옹(白頭翁)’이란 한자명도 갖고 있다. 어린 순을 내밀 때부터 솜털을 뒤집어쓰는데, 자라는 내내 잔털이 보송보송 보드랍다. 잎은 다섯 가닥으로 갈라진 깃골이고, 4월에 종처럼 생긴 짙은 붉자주색 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화심은 노란 꽃밥으로 차 있다.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세잎할미꽃ㆍ가는잎할미꽃ㆍ동강할미꽃ㆍ분홍할미꽃 등 발품만 팔면 만날 수 있는 형제종이 여럿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