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데미풀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139)

2011-03-29     정관호

정관호(86)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모데미풀. [사진 - 정관호]

                                                     모데미풀

                                          그가 처음 선을 보인 
                                          마을 이름을 얹어서 부르는 토종풀 

                                          이 땅 높은 산에서만 
                                          지조를 지키며 사는 꼬쟁이 

                                          딴 데로 가서 살자고 
                                          더러는 꼬임도 받았으련만 
                                          도리도리 끝내 제 고장을 버리지 않는 
                                          다락 같은 자존 

                                          그저 이곳이 좋아라고 
                                          막무가내로 버티어 온 
                                          비록 몸매는 가냘프지만 
                                          정갈하기가 한천의 별 같은 들꽃 

                                          꽃받침 다섯 가닥이 꽃 구실 
                                          정작에 꽃이파리는 
                                          새노랗게 꿀샘으로 잦아들고 

                                          봄이면 꼭 한 번은 
                                          보고 싶어지는 깊은 산 풀벗이여!

▲ 모데미풀. [사진 - 정관호]

▲ 모데미풀.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모데미풀은 깊은 산 축축한 데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이 땅 특산종이다. 봄에 꽃대가 솟아 그 끝에 다섯 가닥의 흰 꽃이 위를 보고 핀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기실 꽃받침이고, 정작에 꽃잎은 수술 속에 섞여서 꿀샘을 이루고 있다. 이파리처럼 보이는 것도 총포가 크게 자란 것이고, 뿌리잎(根生葉)은 꽃이 핀 후에 자란다. 이렇듯 묘한 구조이지만 아주 정갈한 표정을 짓는데 꽃철이 짧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