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초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99)

2010-06-22     정관호

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앵초. [사진 - 정관호]

                                              앵 초

                                    그 떨기의 생김새나 
                                    꽃의 됨됨이로 보아서는 
                                    훤히 트인 곳에 나아가도 되련만 

                                    호젓한 숲 그늘 
                                    그것도 약간은 추진 곳을 
                                    즐겨 제 터전으로 삼는 들꽃 

                                    긴 자루에 쭈글쭈글한 이파리 
                                    가장자리는 이빨처럼 파이어 
                                    잔털이 보송보송 
                                    한 번만 보면 단박에 기억되는 특징 

                                    거기서 꽃대가 솟아 
                                    우산 꽃차례로 활짝 펴지면 
                                    온 숲속이 환히 밝는다 

                                    심장 모양의 붉자주 꽃이파리 
                                    자연스레 떠오르는 얼굴이 있어 
                                    함께 보았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혹 산에 가거든 
                                    바람이 잘 통하는 골짜기나 비탈 
                                    물기 축축한 언저리를 찾아보시라.

▲ 흰앵초. [사진 - 정관호]

▲ 설앵초. [사진 - 송지영]

▲ 큰앵초. [사진 - 송지영]

도움말

앵초는 산기슭 습지나 냇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根莖)가 옆으로 뻗으며 번식하는데, 풀 전체에 보송한 털이 나 있다. 이파리는 쪼글쪼글 주름지고 가장자리가 얕게 파인다. 봄에 우산살 모양으로 갈라진 꽃대 끝에 분홍색 꽃이 위를 향해 핀다. 드물게는 흰 꽃을 피우는 종도 있다. 꽃잎은 다섯 낱, 그 끝이 살짝 파이어 심장 모양을 이룬다. 고산지대 바위틈에서 자라는 설앵초, 깊은 산 습지를 좋아하는 큰앵초는 형제 종(種) 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