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97)

2010-06-08     정관호

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민들레. [사진 - 정관호]

                                                     민들레

                                          하얀 씨 불어 날리며 
                                          그 가는 곳을 좇던 시절

                                          방석 모양 땅에 납작 깔려 
                                          톱니 날카로운 이파리 
                                          거기서 곧추 꽃대가 솟아
                                          노란 색 꽃 하나 달고 

                                          그 뿌리를 캔답시고
                                          손이 부르터 아팠던 일
                                          그러면서 우리에게는 
                                          늘 가까운 들친구였는데

                                          이제 서양민들레에 밀려
                                          너를 만나기가 어려워 
                                          어쩌면 너의 그런 변화가 
                                          우리 모두의 처지 아닌가 

                                          일편단심 네 모습 기리지만
                                          도시병에 찌들리는 우리
                                          그런 너를 지키지 못해 
                                          들에 서면 늘 미안하구나 

                                          드물게 만나는 흰민들레
                                          산에서 산다고 산민들레
                                          키 낮은 땅딸보 좀민들레
                                          다 너의 가까운 살붙이구나

                                          흰 머리로 동그란 씨송이 
                                          지금도 만나면 마구 뛰어간다.

▲ 산민들레. [사진 - 정관호]

▲ 좀민들레. [사진 - 정관호]

▲ 흰민들레. [사진 - 정관호]

▲ 서양민들레. [사진 - 정관호]

도움말

민들레는 들에 흔히 나는 여러해살이풀(多年草)이다. 줄기는 없고 쌍톱날 같은 이파리가 바닥에 깔려 나고, 4~5월 경 바로 솟는 꽃대 끝에 노란 두화(두상꽃차례)가 핀다. 열매는 하얀 동그라미로 익는데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간다. 요즘은 서양민들레에 밀려서 쉬 찾아볼 수 없는 처지가 되었다. 서양민들레는 총포(總苞:꽃대 끝에서 꽃 밑둥을 싸고 있는 비늘 모양의 조직) 아래 조각이 젖혀지므로 분간하기 수월하다. 민들레는 좋은 약초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