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위질빵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80)

2010-02-09     정관호

정관호(84)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사위질빵. [사진 - 정관호]

                                                           사위질빵

                                           시냇가 양짓녘 비탈 같은 데서
                                           덤불에 얹혀 하얀 솜방망이를
                                           찬바람에 나부끼고 섰는 겨울 나무 

                                           해가 역광으로 비치면
                                           어쩔 수 없이 눈에 부신
                                           저 작은 폭포로 드리워진 것이 뭘까

                                           이듬해 그 자리로 거듭 찾아가
                                           늦여름 꽃피는 철에 가서야
                                           가까스로 그 신상 모두를 알았구나

                                           사위를 아끼는 장모 마음을
                                           전설 이야기로 길이 대변하니 
                                           그 덩굴 뻗음새가 마냥 대견한지고 

                                           저 줄기 멜빵으로 짐을 져 보면
                                           딸을 위하는 모정을 알 수 있을까 
                                           보는이들의 부러움을 알 수 있을까.

▲ 사위질빵 꽃. [사진 - 정관호]

▲ 사위질빵의 가을. [사진 - 정관호]

도움말


사위질빵은 ‘사위가 질 멜빵’의 준말이다. 산기슭에서 흔하게 눈에 뜨이는 갈잎덩굴식물로 풀처럼 보이지만 목본(木本)에 든다. 길이는 약 3미터쯤 자라고, 줄기에 세로줄이 있다. 이파리는 세 낱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고 뒷면 입맥에 털이 있다. 8~9월에 하얀 꽃이 무더기로 피는데, 꽃술이 길어서 아주 화사하게 보인다. 꽃이 이운 뒤에는 하얀 깃털처럼 변해서 멀리서도 눈에 뜨인다. 어린 잎은 먹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