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주문량 늘어도 자금없어 소화 못해
정부 지원 '밍기적'..."유예된 이자 한꺼번에 내라" 부담만
개성공단에 대한 제한조치가 풀리면서 주문량이 늘고 있지만 입주기업들은 자금을 구할 길은 여전히 막혀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정부는 그동안 유예했던 남북협력기금 대출 이자를 한꺼번에 지불하라고 요구하고 있어 기업들의 부담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연말부터 남북관계 악화로 위기를 맞았던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지난 9월 1일부터 북한이 개성공단에 대한 출입.통행 제한 조치를 해제하면서 운영이 정상화됐다.
바이어들이 돌아오면서 지난 상반기 급감했던 주문량은 큰 폭으로 늘고 있지만 은행 대출 사정은 그대로여서 많은 입주기업들이 원부자재 구매 대금을 구하지 못해 주문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대표는 "주문량은 100%이상 늘었는데, 자금사정이 좋지 않으니까 작년 물량을 소화하기도 바쁘다"면서 "지금 내년 2월까지 주문이 밀려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 '이라는 꼬리표만 달고 있어도 은행으로부터 대출이 어렵다는 것이 입주기업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또 다른 입주기업 대표는 "남북관계가 풀려도 은행 대출 조건은 바뀐 것이 없다"면서 "어느 은행이든지 대북관계가 완전히 풀렸다고 생각하는 곳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창 상황이 악화됐던 지난 6월경 개성공단 기업들이 911억원의 긴급운용자금 지원을 요청했지만 아직까지 집행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지난 6개월동안 유예했던 남북협력기금 이자를 10월 말까지 한꺼번에 지불하라고 요구해 입주기업들은 자금에 대한 이중고를 겪고 있다.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4월부터 9월까지 유예했던 이자를 10월 31일까지 일시불로 내라고 한다"면서 "몇 십억씩 대출 받았는데 분납이 아니라 목돈으로 내라고 하니까 부담이 크다. 황당하다"고 말했다.
한편, 개성공단 긴급운용자금 지원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기존의 어려운 상황이 바뀌기도 해서 후발업체 중 수익구조가 탄탄하지 않아 아직까지 운영상 압박을 받고 있는 기업을 카테고리로 정해서 대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현재 그 기준과 범위를 정하기 위한 관계부처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