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DJ, 서거 2시간 전부터 치료에 반응 없어"
"운명 1~2시간 전 눈빛으로 의사소통"
김대중 전 대통령의 병세는 17일 밤부터 악화되기 시작해 18일 서거 2시간 전에 산소포화도와 혈압이 급격하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의료진은 이날 오후 4시 30분, 브리핑을 통해 "지난 밤 11시부터 혈압이 떨어지려 할 때마다 의료진이 혈압을 높이거나 수혈을 하는 등 개입을 해서 조처를 했지만 서거 2시간 전부터 반응이 없었다"며 "혈압이 내려갔고, 산소포화도가 떨어졌다"고 말했다.
장준 호흡기 내과 교수는 "지난 밤 11시부터 나빠지기 시작했다. 혈압 상승제를 높이고 새로운 혈압 상승제를 추가하면서 괜찮아지다가 아침 6시, 7시 경부터 상태가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며 "지난 밤 11시에 조처, 오전 1시에 (병세가) 멈짓하다가 7시경 다시 진행했고, 오후 1시 43분에 심장이 멈추셨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폐렴 이후 폐색전증과 급성 호흡곤란이 왔고 이는 다발성 장기부전증의 세 가지 증상"이라며 "고령이고 심장이나 뇌, 위 등 합병증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2, 3주전부터 예의주시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운명하기 한, 두 시간 전에도 김 전 대통령은 눈빛으로 의사소통이 됐다. 멍하니 눈을 뜨고 있는 것과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는 것은 구별이 된다"고 상황을 전하면서 "그러나 말을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고 했다.
이희호 여사 등 가족들은 서거 30여분 전에 김 전 대통령을 만나 자리를 지켰다고 장 교수는 전했다. 김 전 대통령은 임종까지 인공호흡기를 부착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 이날 오후 1시 35분쯤 일순간 심정지 됐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며 "당시 맥박이 매우 느려지고 심전도가 약해진 부분이 있었으나 심장은 뛰고 있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의 사망선고를 내린 정남식 심장내과 교수는 "심폐소생술을 해서 충분히 살아날 수 있는 질병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하지만, 그 동안 많은 고비를 넘겼는데 심폐소생술을 해서 살아날 수 없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가시는 모습을 지켜봤다"며 "김 전 대통령이 아주 편안하게 가셨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심장은 매우 튼튼하셨다. 이번 폐렴만 아니었다면 좋았을텐데"라며 안타까움을 전하고는 "김 전 대통령님은 의사 말씀을 평소에 너무나도 잘 따르셨다. 필요없는 약이나 증명되지 않은 약을 전혀 먹은 적이 없다"고 했다.
그는 의료진을 대표해 "저희 병원에서 폐렴으로 입원하셔서 합병증으로 돌아가셨는데, 현대 의학을 동원해 최선을 다했고, 소생에 많은 노력 했음에도 불구하고 서거하신 대통령께 깊은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폐렴 증세로 입원해 23일 폐색전증으로 병세가 악화됐고, 인공호흡기를 부착한 채 치료를 계속 받아왔다. 그는 이날까지 36일 동안 입원 치료를 받고 있었지만, 끝내 회복되지 못하고 오후 1시 43분 서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