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딸나무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53)

2009-08-04     정관호

정관호(83)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width="550" height="364" layout="responsive" class="amp_f_img">
▲ 산딸나무.

                                                    산딸나무

                                           초여름에 산에 올랐다가
                                           능선에서 바라본 맞은쪽 비탈에
                                           하얗게 깔린 돛자리가 있어

                                           골짜기를 가로질러 다가가 보았더니
                                           한창 꽃을 피우고 섰는 산딸나무
                                           그렇게 이 나무를 알게 되었다

                                           똑바른 열십자 모양
                                           꽃잎처럼 보이는 그 꽃받침이
                                           가운데 무리꽃을 애워싸고 

                                           그 화심이 그대로 익어
                                           딸기 같은 열매가 되니
                                           이 나무 이름의 말미암음이요
                                           새콤달콤 입에 넣어 씹을 만하고

                                           껍질을 벗는 줄기 얼룩으로도
                                           사철 분간이 되지만
                                           그저 꽃철에 한 번만 보면
                                           평생 기억이 되는 희한한 나무

                                           산행 길에서 만나면
                                           쓰다듬고 툭 치고
                                           그렇게 알고지내는 오랜 친구 사이.

▲ 산딸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 서양산딸나무, 총포가 붉은 종. [사진-정관호]

▲ 서양산딸나무, 총포가 흰 종. [사진-정관호]

▲ 서양산딸나무, 열매. [사진-정관호]

도움말

산딸나무는 10미터 안팎 높이로 자라는 갈입좀나무(落葉灌木)다. 수피(樹皮)는 벗겨져 얼룩지고, 가지는 수평으로 뻗어 층이진다. 이파리는 잎맥이 정연하고 6월에 십자(十) 모양의 하얀 꽃을 피우는데,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총포일 뿐 진짜 꽃은 화심에 모여 있다. 그것이 9~10월에 딸기처럼 빨갛게 익으므로 ‘산딸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수입종인 서양산딸나무가 공원 등지에 더러 식재되고 있다. 유럽 기독교 국가에서는 성스러운 나무로 기림을 받는 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