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부쟁이

<연재>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13)

2008-10-28     정관호

빨치산 출신 장기수 정관호(82) 선생의 시와 사진으로 된 연재물을 싣는다. 시와 사진의 주제는 풀과 나무다. 선생에 의하면 그 풀과 나무는 “그저 우리 생활주변에서 늘 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런 풀이요 나무들”이다. ‘정관호의 풀 친구 나무 친구’ 연재는 매주 화요일에 게재된다. / 편집자 주



▲ 쑥부쟁이. [사진-정관호]

                                                         쑥부쟁이

                                              가을에 접어들면 
                                              언제 그런 것이 자라고 있었던가 싶게 
                                              들에서 산기슭에서 
                                              보라색으로 피어나는 무리꽃 

                                              애달픈 전설*을 모르는 이에게도 
                                              아련한 추억 거리를 떠올리게 하는 
                                              저 가녀린 꽃이파리들 
                                              소슬한 바람에 물결로 일렁인다 

                                              그 떨기를 등지고 앉아 
                                              산굽이 너머 구름 흘러감을 바라보면 
                                              어설프나마 노래 들머리 서너 줄 
                                              서성임 없이 솟아오르고 

                                              그래, 거기 그렇게 피거라 
                                              한을 품었거든 한 대로 
                                              슬픔을 안았거든 슬픔 대로 
                                              하늘을 향해 작은 몸짓으로 너울거려라. 

                                                    * 불쟁이(대장장이)의 딸이 한양 박도령을 그리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스러진 비련(悲戀)의 설화를 말함. 
                                                       ‘부쟁이’는 ‘불쟁이’에서 ㄹ이 탈락한 꼴.


▲ 가새쑥부쟁이. [사진-정관호]

▲ 까실쑥부쟁이. [사진-정관호]


도움말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반도 전역 산야에 널리 퍼져 자라며 그 종류도 다양하다. 흔히 ‘들국화’로 불리는 무리의 하나인데, 종명(種名)은 아니므로 그렇게들 익히지는 말아야 한다. 7~10월에 걸쳐 국화꽃 비슷한 연자주색 꽃을 피운다. 애절한 설화와 더불어 가을의 상징 같은 풀꽃으로 대접받는다. 어린 순은 먹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