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해주일대 매립, 남북경제특구로"
(사)한국학술연구원 코리아포럼서 연구 내용 발표.제안
2007-10-11 정명진 기자
11일 오후 2시 30분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사)한국학술연구원(이사장 박상은)은 '한반도 공동번영 대전략-경제자유지역과 동북아 물류중심'이라는 주제로 9차 코리아포럼을 열고, 그동안 연구해온 내용을 발표했다.
서울대 안건혁 교수는 △1단계 석모도 서부, 강화도 북부 △2단계 강화도 남부, 영종도 북부, 주문도 서부 △3단계 해주만 일대 등 약 644.7㎢(1억 9502만평)이 간척지로 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안 교수는 '남북경제특구'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석모도 및 교동도 인근 지역은 북한의 임진강 및 해주와 인접하며, 강화도 북부 지역도 개성공단과의 직접 연계가 가능하다"며 "인천항 및 인천공항과 해주, 개성 및 평양을 직접 연결하는 위치에 입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석모도 서부 부지는 "항만 건설에 유리한 입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한 해주와의 직접 연계를 통해 북한의 노동력을 이용한 대단위 산업단지의 조성을 통한 물류.생산복합형의 특구 설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황해권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를 기하면서, 대륙철도와의 연계수송이 가능하고, 남북경제협력 사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신규 항만 및 배후부지의 건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안 교수가 제안의 타당성을 강조했다.
특히 "1단계 지역인 석모도 서부, 강화도 북부 부지를 간척한다면 (북은) 정전협정 위반이라고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할 것"이라며 "북한과의 협의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과의 협의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이 프로젝트가 북한의 서부 해안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라며 "북한 입자에서 서해는 동북아 시대에 중국과의 교통 및 남한과의 교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날 안 교수는 "저어새와 같은 멸종 위기의 도래지로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인천의 갯벌은 다양한 어패류의 서식처로서 생산력이 풍부해 갯벌 보존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고 전하고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