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2차정상회담 "내년까지 이뤄져야"

통일부 국감, 남북관계 4대정책과 3대추진원칙 제시

2004-10-04     김치관 기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2차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적어도 2005년까지는 이뤄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입장을 밝혔다.

4일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4층 통일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위원장 임채정) 국정감사에서 정동영 장관은 열린우리당 임종석, 한명숙 의원 등의 정상회담과 대북특사 파견에 관한 질의에 답하면서 "검토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발언은 정상회담과 대북특사 파견 추진을 시사한 것으로 보도되자 통일부 대변인은 "'현 시점에서 남북정상회담 추진 검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즉각 해명에 나섰다. "임종석 의원의 책임있는 당국간 대화의 조속한 재개 필요성 의견에 동의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미로 발언한 것"이라는 해명이다.

국정감사장에서는 한나라당 전여옥 의원 등이 최근 북한 최수헌 외무성 부상이 '핵물질의 무기화'를 언급한데 대해 따져 물었으며, 정 장관은 "명확한 증거로 뒷받침되고 있지 않다"며 "어떤 경우도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답하고 "신중하게 사실 관계를 따져 보겠다"고만 말했다.

정동영 장관은 이날 국정감사 인사말에서 남북관계 4대 중점 정책으로 △첫째, 6.15 공동선언의 정신을 재확인하며, 남북 신뢰관계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 △둘째, 한반도 평화증진에 우선적인 노력을 경주할 것 △셋째, 실용주의적 남북관계를 정착시켜 나갈 것 △넷째, 국민과 함께하는 대북정책을 추진할 것을 제시했으며, 열린우리당 장영달 의원의 질문에 답하면서 정책의 정합성, 일관성, 신중성을 정책추진의 3대 원칙으로 제시했다.

정 장관은 이날 답변에서 북핵문제 등에 대해 '간단치 않은 문제'라는 표현 등을 자주 사용하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으며, 한나라당 의원들은 개성공단 추진과정의 문제점 등 정부의 대북정책 실책을 따졌으나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를 묻는 등 '조언성 질문'을 하기도 했다.

한편 통일부 국정감사는 개회 초반 통일부 실.국장들의 현안보고 과정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이 불만을 표하며 자리를 박차고 나가 한때 정회되기도 했으며,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박정은 간사가 의정감시의 일환으로 자리를 지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