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한국 과거사 청산 논란 다각 분석

2004-08-21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특파원 = 열린우리당 신기남(辛基南) 의장이 선친의 친일기록으로 인해 의장직에서 사퇴한 것은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 일본 제 국주의에 대한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게 남아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라고 워싱턴 포스 트가 20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도쿄(東京)발 기사에서 "일제에 대한 기억은 일본 이웃국가들의 마음 속에 아직 살아있는 역사이며, 최근 수개월간 한국과 중국에서 다수 발생한 반일 사 건도 이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신문은 일본 자위대의 해외파병을 더욱 용이하게 할 평화헌법 개헌 논란과 미국의 개헌론 측면 지원, 제2차 세계대전 이래 최대의 군사관련 활동을 위한 자위 대 비전투병의 이라크 파병 등으로 인해 "일부 일본의 이웃나라들의 심기가 불편해 지고 있다"며 지난주 중국에서 일어난 일련의 반일 사건들을 지적했다.

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과거사 진상규명특위 구성을 제안한 것과 관련, 이 신문은 "남북 정부간 화해 정책이 확대되면서 한국에서 민족 주의가 고조되고 있다"거나 "특위는 `미국이 지원한' 군사독재 시절 득세한 사람들 도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는 등 한국의 민족주의 부상 관점에서 소개하기도 했 다.

이와 함께 국내 정치적으로는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를 겨냥한 목적도 일부 있다고 일부 분석가들은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노 대통령의 연설 후 곧바로 신기남 전 의장의 선친의 친일 주장들이 한국 언론들에 제기돼 노 대통령의 열린우리당이 도리어 타격을 입었다"며 한국의 과거사 청산 논란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설명했다.

신문은 신 전 의장 사퇴 전말과 박 대표의 노 대통령 일부 측근 인사들을 겨냥 한 친북활동 조사 요구 등을 비교적 상세히 전하면서 "일제시대와 군사독재시절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는 상류층에 대한 마녀사냥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며 "지난 세기 권세를 누린 사람들 다수는 점령자나 독재자중 하나와 혹은 둘 다와 무관하지 않다고 알려졌기때문"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