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과거특위 구성' 역공속 논란 예고

2004-08-16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기자 = 한나라당은 16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국회내 과거사진상규명특위 설치 제안을 "실정에 대한 책임회피용", "야당 지도자를 겨냥한 비열한 정치적 술수"라고 주장하며 역공에 나섰다.

하지만 당내 비주류 인사 등 일각에선 신중대응론과 중립적 인사 특위 참여를 통한 합리적 운용론도 제기돼 당내 논란을 예고했다.

당내 기류는 "과거사특위는 정략적 발상"이라는 주장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직접 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박근혜(朴槿惠) 대표는 일단 언급을 유보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상임운영위 회의에서 특위 구성 제안을 "야당과 야당 지도자를 겨냥한 비열한 정치적 술수이자 국내용"이라면서 "국정에 무한책임을 진 집권세력이 정략적 과거사 들추기에만 매달려 있으니 걱정"이라고 말했다.

원희룡(元喜龍) 최고위원은 "대상과 기준을 명확하게 하지 않은 채 반대하면 `그럼 하지 말자는 거냐'는 식으로 나올 것인데 그런 식으로 국민을 분열시키는 것은 안된다"고 지적했다.

국회가 과거에 집착말고 당면현실을 푸는 일에 앞장서자는 역제의도 나왔다.

김형오(金炯旿) 사무총장은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특위, 행정수도이전특위부터 구성하라"고 목청을 높였고, 임태희(任太熙) 대변인은 논평에서 "과거사특위 구성에 앞서 여야 합의로 이미 구성해둔 규제개혁특위와 일자리창출특위를 먼저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비주류 인사들은 신중론을 개진, 주류측과 입장차를 드러냈다.

이재오(李在五) 의원은 "특위를 만들어 운영해보다가 여당이 정략적으로 이용하면 문제를 제기할 수는 있어도 여당이 제안하고 다분히 의도가 있다고 해서 거부하는 것은 문제"라며 한나라당이 과거청산에 당당히 나설 것을 주장했다.

권오을(權五乙) 의원은 "왜 한나라당은 이런 문제가 나올 때마다 수세적이어야 하느냐"면서 중립적 인사로 특위를 구성해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문수(金文洙) 의원은 "무조건 찬성, 반대할 일이 아니다"면서 "대통령은 과거에 대한 진상조사가 도덕적 조사인지, 정치적 조사인지 어떤 복안이 있는 지 먼저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김 사무총장은 정동영(鄭東泳) 통일부장관이 탈북자 집단 입국에 대해 `유감'을 표시한 데 대해 "통일부장관은 탈북자가 왜 생겼는 지, 근본적인 이유가 뭔지, 탈북자들의 생존권 문제에 관해 관심을 갖는 게 진정한 역할"이라고 비판했다.

또 그는 김근태(金槿泰) 보건복지부장관이 중국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에게 고구려사 왜곡에 대해 항의서한을 보낸 데 대해 "복지부장관이 항의할 게 아니라 국무위원으로서 대통령에게 건의하는게 맞다"면서 "대권가도를 달리기에 몰두하기보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정위치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