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2년 맞은 정세현 통일부장관

2004-01-29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 유ㆍ장용훈 기자 = 정세현(丁世鉉) 통일부 장관이 통일부의 수장 자리를 맡은 지 29일로 2년을 채웠다.

지난 2002년 1월 30일 '국민의 정부'에서 장관으로 발탁된 그는 이듬해 2월 출범한 '참여정부'에서도 연임돼 현 정부내 국무위원 가운데 최장수가 됐다.

물론 한명숙 환경부 장관이 2001년 1월 여성부 장관에 임명됐지만, 여성부에서환경부로 부처를 옮긴 경우여서 사실상 동일한 분야에서는 정 장관이 최장수다.

그의 장수에는 해박한 실무능력과 대북 협상력, 그리고 다른 외교ㆍ안보 부처 장관들과의 협의ㆍ조정 능력이 한 몫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특히 정 장관은 취임 이후 제7차 부터 6차례나 남북장관급회담에 수석대표로 참석해 북한을 배려하면서도 단호한 태도를 견지하고 이와 더불어 고금의 비유를 자유롭게 구사하며 '촌철살인'의 언변을 구사하는 데는 나름대로 정평이 나 있다.

그러나 위기도 없지 않았다. 지난 해 10월 제주 평화축전때 북한에 참가 대가를 제공했느냐 여부와 관련, 국회 국정감사에서 위증한 것이 문제가 된 것.

이로 인해 한때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는 고발까지 검토했으나 장관의 공개사과와 해당국장을 인사 조치하는 선에서 일단락돼 위기를 넘겼다.

참여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정 장관은 10여 차례에 걸친 국내외 '열린통일포럼'과 각종 강연을 통해 평화번영정책의 전도를 위해 뛰어 다니고 있으며 최근에는 북한의 변화론을 역설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의 '북한 변화론'은 화해협력을 통해 북한이 '의미있는 변화'에 들어선 만큼북한이 더 빨리, 더 성공적으로 변화하도록 도와줘야 하고 그래야만 북한의 정치상황와 인권 문제도 개선이 가능하다는 논리로 발전된다.

이같은 노력에는 북핵 문제와 관련해 대북 봉쇄정책을 선호하는 부시 행정부내 신보수주의 논리를 견제하려는 의지도 포함돼 있다.

그는 전날인 28일 국민의 정부에서 함께 햇볕정책을 지켜왔던 임동원(林東源) 전 대통령 외교안보통일 특보의 한겨레통일상 수상식에 참석, 축사를 통해 남북관계발전에 임 전 특보가 쌓은 업적과 공로를 높이 칭찬한데 이어 이날 코앞으로 다가온 제13차 남북장관급회담 준비차 모의회의를 갖고 대책을 숙의하는 등 바쁜 시간을 보냈다.